베일벗은 네이버 '초거대AI'…"챗GPT보다 한국어 6천500배 잘해"(종합)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하이퍼클로바X 7월 중 공개…네이버 차세대 검색 기술 '서치GPT'도

[아이뉴스24 박진영 기자] 해외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 개발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 초거대AI 기술 역량을 다수 보유한 네이버가 누구나 자신의 데이터를 접목해 쓸 수 있다는 초대규모AI 청사진을 공개했다. 또 네이버 검색에 특화된 기술 기반의 차세대 검색 기술 '서치GPT'로 글로벌 시장서 승부수를 띄우겠다는 목표다.

27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진행된 데뷰 컨퍼런스에서 하이퍼클로바X에 대해 소개하는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사진=네이버]
27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진행된 데뷰 컨퍼런스에서 하이퍼클로바X에 대해 소개하는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사진=네이버]

네이버는 27일 개발자 컨퍼런스 데뷰2023(DEVIEW 2023)을 갖고 AI와 관련된 종합적인 경영 전략을 이같이 발표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키노트에서 '챗GPT'와 같은 AI로 인한 세상에 거대한 변화를 언급하면서 "고객의 목적에 맞춰 최적화할 수 있는 초대규모AI '하이퍼클로바X'를 7월 중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최근 AI, 클라우드 등 B2B(기업 대 기업) 기술 역량을 '팀 네이버'로 집결했다. 생성AI와 같은 초대규모 AI로 기술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김 대표는 "팀네이버는 글로벌 수준의 AI기술력과 역량을 결집시켰고, 네이버클라우드를 중심으로 기술 조직을 통합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에 하이퍼스케일AI를 결합해 전세계적 변화의 흐름에 대응할 준비를 마쳤다"면서 "하이퍼클로바X는 하이버클로바의 개선 버전으로, 고객이 자체 보유한 데이터를 사용자 요구에 맞게 즉각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이퍼클로바X로 나만의 '초대규모AI' 서비스 만든다

네이버의 초거대AI는 개인, 특정기업 또는 국가단위까지 규모와 목적에 맞게 최적화된 AI서비스를 만들도록 돕겠다는 것이다. '하이퍼클로바X'를 통해 AI기술을 누구나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보편적인 서비스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성낙호 하이퍼스케일AI 기술 총괄은 "작은 양의 데이터라도 고객이 보유한 데이터와 결합하면 특정 서비스나 기업 등 각 영역에 최적화된 초대규모 AI 프로덕트 구축이 가능하다"며 "사용자 요구에 맞는 응답을 다양한 인터페이스로 즉각 제공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했다"고 밝혔다.

그는 하이퍼클로바X를 거대한 지식인과 같다고 설명하면서 "기존 지식인 서비스와 다른 점은 즉시 답을 얻을 수 있고, 추가로 질문을 하는 등 실시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 기술은 기존 검색 검색은 물론 네이버웍스, 웨일 등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하고 AI개발 플랫폼인 '클로바스튜디오'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방침이다.

하이퍼클로바X는 한국어 능력도 탁월하다. 그는 "챗GPT대비 챗GPT 대비 한국어를 6천500배 더 많이 학습했다"면서 "해외 빅테크 기업의 AI는 한국의 문화, 법률 등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지만 하이퍼클로바는 한국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상황에 알맞는 답변을 내놓는다"고 밝혔다.

네이버는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도 겨냥한다. 현지 국가의 규정과 법률을 따르는 '소버린 클라우드' 전략을 통해서다. 김유원 대표는 "AI서비스가 글로벌로 가려면 클라우드 등 기술 인프라도 글로벌 진출이 필요하다"며 "현재 여러 글로벌 파트너사와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27일 개막한 데뷰2023에서 키노트를 진행 중인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AI 기술 총괄 [사진=네이버]
27일 개막한 데뷰2023에서 키노트를 진행 중인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AI 기술 총괄 [사진=네이버]

◆삼성전자와 'AI반도체' 공동 개발…차세대 검색기술 '서치GPT' 공개

네이버의 초대규모AI 인프라를 마련하기 위해선 ▲저비용·고성능의 AI 반도체 개발 ▲에너지 효율적인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구축 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네이버는 삼성전자와 협력해 AI반도체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초대규모AI 고도화를 위해 비용을 줄이면서 고성능의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필수적이다. 곽용재 CTO는 "LLM(대규모언어모델)의 연산과 학습, 추론에 필요한 기능을 모두 갖추면서도 기존 GPU 대비 1/10 크기의 모델 사이즈, 4배 이상의 전력 효율성을 갖춘 경량화 된 AI반도체 솔루션을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네이버의 초거대AI 청사진에는 충분한 전력공급과 효율적인 냉각시설을 갖춘 네이버의 두번째 데이터 센터 '각 세종'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올해 하반기 운영 예정인 '각 세종'은 기존 춘천 데이터센터 연면적의 6배 규모에 달하고, 수용 가능한 서버가 60유닛이다.

곽 CTO는 "올해 오픈할 '각 세종'의 경우 AI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안정적인 전원 용량 확보 및 냉방 기술을 갖췄다"면서 "이번 AI반도체 솔루션을 각 세종에서 운영할 경우 기존 GPU 대비 4배 더 큰 운영 규모를 갖춰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서네이버는 네이버 검색 엔진에 초거대AI를 접목한 차세대 검색 기술 프로젝트 '서치GPT'를 공개했다. 글·사진·음성 등 복합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멀티모달(Multi Modal) 기술을 활용해 ▲정보의 신뢰성 ▲네이버와 연결성 ▲효과적 정보제공 등을 중점적으로 진행 중이다. 이는 하이퍼클로바를 네이버 검색에 특화시킨 검색 대규모 언어모델인 '오션(OCEAN)'을 백본(back-bone)으로 활용한다.

김용범 네이버 서치US 치프 사이언티스트는 "네이버가 20년간 축적한 사용자의 검색 흐름 데이터를 모델링해 사용자가 검색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최적의 경로를 안내한다"고 언급했다. 덕분에 검색의도와 결과를 더 잘 이해하고 신뢰성이 강조된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최신성과 정보 간 교차·반복 검증 및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정확성과 신뢰성을 갖춘 정보를 생성하고 쇼핑, 페이, 지도 등과 같은 네이버 서비스와의 유기적인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최적화된 정보를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과 함께 활용해 직관적인 형태로 제공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편, 올해 15회차를 맞이한 데뷰2023은 27일부터 이틀간 삼성동 코엑스에서 3천500여 명이 참가자들과 함께 진행되며, 인공지능/머신러닝(AI/ML), 클라우드, 웹, 검색, 모바일, NLP(자연어처리), 데이터, 추천, 인프라 등 총 46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박진영 기자(sunlight@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베일벗은 네이버 '초거대AI'…"챗GPT보다 한국어 6천500배 잘해"(종합)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