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국배기자] 유사한 문자열이나 문구의 표절 여부를 찾아내는 표절검색 솔루션이 도입 첫해를 맞았다. 2012년은 표절검색 솔루션의 '원년'인 셈이다.
올해 표절검색 솔루션은 등장 이후 사회적으로도 많은 주목을 받았다. 표절이 이슈로 떠오르면서 그에 대한 해결책 중 한 가지인 표절검색 솔루션에도 관심이 모였기 때문이다.
코난테크놀로지(대표 김영섬)를 비롯, 와이즈넛(대표 박재호), 무하유(대표 신동호) 등 표절검색 솔루션을 제공해 온 토종 검색업체들은 도입 원년 '소기의 성과를 얻으며 순항하고 있다'고 성과를 요약했다.
◆표절 문제되니 표절검색 솔루션에도 주목
올해 정치, 경제, 사회 등 다방면에서 표절은 '핫(hot)'한 이슈였다.
정치권에서는 문대성 국회의원이 박사학위 논문 표절 논란 끝에 4월 새누리당을 탈당했다. 논문 표절 여부가 선거철이나 인사청문회 시기 후보자 검증을 위한 단골메뉴가 되면서 생겨난 일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올 한해 표절이 여러 차례 이슈가 되면서 실제로 솔루션 도입에 관한 문의도 크게 늘었다"며 "정치권에서도 의뢰가 들어오기도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아쉬운 점은 상대방을 공격하기 위한 의도에서 의뢰가 들어오는 것이 다반사"라고 말하기도 했다.
대학 등 교육기관은 표절검색 솔루션의 '우수고객'들에 속한다. 리포트나 논문에 대한 표절여부를 가려내 학생들에 대한 합리적 평가를 하기 위해 표절검색 솔루션을 도입해 왔다. 최근에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입학사정관제 지원서류 유사도 검증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솔루션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다.
대교협의 발표에 따르면 올해 정시모집부터는 입학사정관전형의 자기소개서나 교사추천서가 다른 사람의 글과 5% 이상 비슷하면 집중검증을 거쳐 정도에 따라 감점하거나 불합격시킬 계획이다. 올해 수시모집까지는 일부 대학만 검색시스템을 활용했지만 정시모집부터는 입학사정관전형을 실시하는 모든 대학이 검증의무를 진다.
기업들의 표절검색 솔루션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인재채용 과정에서 자기소개서의 비중이 커지면서 입사지원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합격 자소서'를 공유, 제대로 된 평가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표절검색 솔루션, 올해의 성적표
표절검색솔루션이 주목 받은 만큼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들은 불황 속에도 나쁘지 않은 성적표를 받았다.
코난테크놀로지는 자사 표절검색 솔루션 '밈체커'를 올해에 25군데에 공급했다. 경희대학교, 경기도교육청, 크레듀, 상공회의소 평생연구원, 웅진 패스원 평생교육원, 한국보육교사교육원 등이다.
올해 6월 '와이즈 레퍼리(WISE Referee) v2.1' 버전을 발표한 와이즈넛도 대학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 현재 성균관대, 한양대, 단국대, 연세대 등 국내 주요 대학 학사관리시스템(LBS)와 입학사정관제 서류평가시스템에 도입돼 자소서, 추천서 등에 대한 표절의심 문서를 가려내는데 쓰이고 있다.
무하유도 작년말 선보인 '카피킬러'라는 표절검사 서비스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서강대학교와 포항공과대학, 이화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충북대학교, 경희대학교, 열린사이버대학교, 한국도로공사, 부산광역시교육청, 메가스터디, 신세계아이앤씨 등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사회적으로 지식재산권 강화의 분위기가 이는 등 내년에도 표절검색 솔루션에 대한 전망은 밝은 편"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남은 과제는
관련업계는 사회적 관심이 지속적인 수요 발생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내년 시장전망을 긍정적으로 예측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시장확대를 위한 보다 근본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대학 등 교육기관이 표절검색 솔루션에 대한 필요는 점차 느끼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이를 도입할 만한 예산과 인프라를 갖춘 곳이 많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또한 수요처가 교육시장에 집중돼 있어 시장규모가 제한적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이에 대해 와이즈넛 관계자는 "당장 수요가 있는 교육시장에만 머물 것이 아니라 기업들이 먼저 다른 분야로의 확대 적용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며 "지식관리(KM)나 전자문서관리(EDM)와의 연계 등 사업을 바라보는 시각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폐쇄적인 정보 환경도 도마에 올랐다.
무하유 관계자는 "표절검색의 경우 데이터의 양이 관건이나 공공기관 등 정보 소유자가 데이터를 오픈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정부 지원을 요구하는 의견도 나왔다. 업계 관계자는 "주요대학을 제외한 대학들의 경우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예산이 적어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경우가 많다"며 "건전한 학습문화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란 인식이 전제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국배기자 vermeer@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