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https://image.inews24.com/v1/82512594d5983c.jpg)
[아이뉴스24 김보선 기자] 국민의힘이 설 연휴 직후 경제·민생에 집중하며 정책 주도권 잡기에 본격 나섰다. 보수층 결집으로 여당 지지율이 상승세를 보이는 데 힘입어 계엄·탄핵 국면에서 멈췄던 여당의 정책 기능을 되살리고 지지세를 확장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연휴가 끝난 직후인 31일 당 비대위 회의에서 "이제 다시 힘차게 시작할 때"라며 "국회가 정쟁을 멈추고 국민의 목소리에 답을 내놓아야 할 때다. 경제와 민생, 외교 문제만큼은 여야가 따로 없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당장 민생 경제와 직결된 △반도체 특별법 △전력망확충 특별법 △고준위 방폐장법 △해상풍력 특별법 등 반도체법과 에너지 3법을 '국가 미래 먹거리 4법'으로 내세우고, 2월 임시국회에서 반드시 처리하겠다는 각오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산업계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책임 있는 집권여당으로서 더 이상 법안 처리의 골든 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판단"이라고 말했다.
이들 법안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한 지도부 차원의 행보도 다수 예정돼 있다.
당 경제활력민생특별위원회와 AI 3대 강국 도약 특별위원회는 내달 5일 전력망 시설 현장을 찾아 'AI 시대 안전한 전력망 확충'을 주제로 현장 간담회를 개회한다. 권영세 위원장 등 주요 당직자들이 함께한다.
특정 반도체 산업 종사자의 주52시간 상한제 적용에 예외를 두는 내용 등을 담은 반도체 특별법의 추진 주도권을 민주당이 쥐려는 듯한 움직임도 잔뜩 경계하고 있다. 이재명 대표는 내달 3일 반도체 특별법과 관련한 정책 토론회를 주재한다고 예고한 상태다. 민주당은 그동안 주52시간제의 원칙이 후퇴할 수 있다는 이유로 반도체 특별법에 반대 의사를 보여 왔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반도체 특별법은 민주당 반대 때문에 국회에서 계류 중인데 본인들이 반대하는 법안에 대해 토론회를 개최하려는 이유는 분명하다. 이재명 대표의 반시장적, 반개혁적 이미지를 완화하면서 동시에 민노총을 비롯한 좌파 세력을 달래보려는 이중 플레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각종 민생 정책 발표 움직임은 계엄·탄핵 국면을 맞아 불가피하게 멈춰있던 여당의 정책 기능을 정상화하는 차원이라는 게 당의 공식 입장이다.
'정책정당 가치 회복'을 내세워 사실상 조기 대선에 대비해 중도층 공략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에는 선을 그었다. 당내에선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인용을 전제로 한 조기 대선을 거론하는 것 자체를 금기시하는 분위기다.
권영세 위원장은 이날 "최근 야권과 일부 언론이 마치 대통령 탄핵이 확정이나 된 것처럼 조기 대선 분위기를 조장하는 것은 대단히 부적절하다"며 "조기 대선을 전제로 하는 후보 선호도 조사는 잘못된 행태인 만큼 즉각 중단해야 옳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당에서도 이러한 잘못된 분위기에 부화뇌동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