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PPL에 중간광고 까지? '부글부글'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간접광고 16배 껑충, 편법 중간광고도 성행 …찬반론 '팽팽'

[성상훈기자] 지상파가 매출감소, UHD 투자 재원 마련 등을 이유로 중간광고 허용을 공식 요구하고 나선 가운데 이를 놓고 찬반론이 팽팽하다.

매출 둔화 등을 이유로 중간광고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미 이와 유사한 광고가 성행하고 있고 인터넷 미디어, 간접광고(PPL) 매출은 크게 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반면 지상파 측은 중간광고를 허용하고 있는 유료방송에 대한 역차별인데다 스마트미디어 환경 진화에 따른 변화 등의 필요성을 이유로 이를 허용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지상파 3사가 성장 둔화 등을 이유로 중간광고 허용을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이미 계열사를 통한 자체 PP 운영을 통해 등 중간광고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신료 인상, 재송신료, 협찬, VOD/OTT 등 부가사업을 통한 수익을 확대, 전체 매출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방송업계 균형발전을 위해 지상파 중간광고를 허용할 근거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매출 둔화? 지상파 계열 PP 중간광고 등 매출 증가세

실제로 현재 각 지상파의 자회사인 KBSN은 KBS스포츠, KBS드라마, KBS joy를 운영 중이며, MBC 플러스는는 MBC드라마넷, MBC퀸, MBC SPORTS 플러스를 운영하고 있다. SBS는 SBS 플러스, SBS funE, SBS 스포츠, SBS 골프, SBS CNBC, SBS MTV 등을 운영 중이다.

지상파3사 계열을 통틀어 현재 10개 이상의 중간광고가 가능한 채널이 성업 중인 것. 여기에 광고, 재송신료 등을 포함, 지난해 지상파 3사의 방송사업 매출은 총 3조1천억원으로 10년 새 오히려 약 23% 가량 커졌다.

더욱이 간접광고가 급증하면서 관련 매출는 5년새 10배 이상 늘어난 상황.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가 변재일 의원(더불어민주당)에 제출한 '지상파 간접광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KBS와 MBC의 간접광고 매출은 지난 2010년 17억3천500만원에서 지난해 292억5천900만원으로 16배나 늘었다. 이 기간 KBS의 간접광고 매출은 무려 75배, MBC는 10배 가량 증가했다.

특히 시청률이 높고 인기있는 프로그램일수록 간접광고가 많다보니 노골적으로 시청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광고위주의 프로그램 양산으로 콘텐츠 질 역시 하락하고 있다는 우려도 있다.

◆지상파, 킬러콘텐츠 부재 여전

방송통신위원회의 '2015년 텔레비전 방송채널 시청점유율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상파 채널의 총 시청점유율은 최근 5년간 하락세다. 그럼에도 전체 시청 점유율은 58%로 여전히 과반 이상의 독보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다.

KBS1, MBC, KBS2가 각 두 자릿수를 넘은 반면 종합편성채널은 2~4%, tvN은 3.66%, OCN 1.13%를 기록했고 Mnet 은 채 1%를 넘지 않는 수준이다.

일각에서는 CJ E&M이 지상파를 제쳤다는 분석도 있지만 이는 CJ E&M 내 PP인 tvN, 엠넷, OCN 등을 포함한 총 16개 채널과 홈쇼핑 채널인 오쇼핑까지 합한 수치다. 따라서 실제 각 방송 채널 별 시청점유율은 여전히 지상파에는 비교할 수준이 못 된다.

다만 지상파의 킬러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지적은 여전하다. 방통위 시청점유율 VOD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5월부터 12월까지 서비스 된 VOD 중 SBS가 2천375개로 가장 많고 MBC가 1천570개, KBS2가 1천495개 순으로 나타났다.

CJ E&M의 tvN의 경우 649개로 갯수는 지상파 보다 적지만 시청시간은 평균 43분 수준으로 SBS(39분)보다 길고, MBC(56분)나 KBS2(47분) 하고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킬러 콘텐츠 부재에 대한 지적이 나오는 것은 이때문이다.

◆지상파 중간광고 찬반론 '팽팽'

지상파는 중간광고 허용 이유로 이미 이를 실시하고 있는 유료방송과의 역차별 규제를 문제삼고 있다. 반면 한편에선 공영방송의 의무는 저버리고, 매출 및 수익 올리기에만 몰두하고 있다는 지적도 만만찮다.

이와 관련 업계에서는 수익성이 없는 공익광고가 심야시간에만 편중돼있는 점을 꼽는다. 실제로 지난 5년간 방영된 3만728건의 공익광고의 74%인 2만2천761건이 밤 12시 이후 심야시간에 방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을 통한 공공의 서비스가 외면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더욱이 지상파 중간광고가 허용되지 않은 현재도 '프로그램 쪼개기'와 같은 편법으로 이미 중간광고를 집행하고 있다는 점도 논란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상파들이 중간광고 도입을 놓고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목적이라 강조하지만 이를 납득시킬만한 근거가 부족하다"며 "다만 유료 방송의 중간광고 경험으로 시청자들도 점점 이에 익숙한 시청환경이 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전했다.

이처럼 중간 광고에 대한 시청자들의 인식이 개선되고 있는 데다 최근의 방송과 통신 융합 등에 따른 시장 경쟁 및 시청 환경 변화에 맞춘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최근 한국방송학회에 발표된 홍원식 동덕여대 교수의 '지상파 방송의 중간광고 실시와 시청자 인식 조사'에 따르면 19세부터 69세 사이 성인남녀 1천명 중 중간광고에 대한 반대 의견은 47%.1에 그쳤다. 26%는 찬성 의견을, 직접적인 의견 표명을 유보한 '보통'은 26.9%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 2004년 응답자의 87.5%가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을 반대했던 것에 비하면 큰 변화. 2007년과 2008년에 각각 70.6%, 81.5%를 기록하는 등 중간 광고를 반대하는 시청자들이 줄고 있는 것. 또 지상파TV 광고를 집행한 실적이 있는 1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에서도 72%가 지상파 중간광고 찬성 의견을 보였다.

이 같은 변화에 맞춰 중간 광고 허용이 불가피하다면 지상파 방송의 공익성, 공공성 강화 등이 전제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지상파 광고 수익이 5년간 20%로 줄었다고 하지만 이는 고스란히 인터넷으로 가고 있다"며 "지상파는 엄청난 광고 규제를 받지만, 인터넷 동영상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이 필요한 것도 사실"이라고 진단했다.

/성상훈기자 hnsh@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지상파, PPL에 중간광고 까지? '부글부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



포토 F/O/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