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혜정기자]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작용 오토파지(Autophagy, 자가포식)를 조절하는 신체 경로가 규명됐다. 오토파지 신호 조절을 통해 암 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열렸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생존에 필수적인 오토파지 작용을 조절하는 새로운 신호를 발견, 지금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오토파지의 작동 경로를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16일 발표했다.
백성희 서울대학교 교수 연구팀은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 지원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는 세계 3대 저널인 네이처에 15일자에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오토파지는 불필요한 세포내 단백질 및 손상된 세포내 소기관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세포내 필요한 물질들을 합성해 세포의 생존과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 역할을 하는 신체 작용이다. 영양분 결핍, 대사성 스트레스, 암, 퇴행성 뇌질환이 발병하면 항상성 유지를 위해 활성화되는 작용이다.
현재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세포질에서 오토파지 단백질들이 어떻게 결합하고 기능하는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고, 백성희 교수팀은 전례가 없었떤 핵 내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발현 등을 연구했다.
연구 결과 오토파지를 유도하는 다양한 신호에 의해 메틸운반효소1(CARM1) 단백질이 안정화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핵 내에서 일어나는 오토파지의 중요한 신호 전달 경로를 발굴하고 여기에 핵심적인 CARM1 단백질을 발견, 오토파지의 메커니즘을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백성희 교수는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오토파지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암, 퇴행성 뇌질환 등의 병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에서 발굴한 오토파지 조절에 필수적인 신호전달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신개념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