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갑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대기업 근로자의 44.8%가 기본임금 체계 중 직능급 또는 직무급을 받고 있으며 그 비율이 점차 확대될 것이라 전했다. 호봉급 대상자는 43.3%를 차지했다.
전경련은 여론조사업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조사에 응한 170개 기업을 상대로 '500대 기업 임금체계 현황 및 애로요인' 설문을 벌였다.
조사 결과 2016년 현재 170개 기업 소속 근로자 35만9천428명 중 직능급인 근로자는 12만2천246명으로 34.1%, 직무급인 근로자는 3만8천537명으로 10.7%로 도합 44.8%를 기록했다. 기본급이 호봉급인 근로자는 15만5천723명으로 43.3%를, 기타 기본급인 근로자는 4만2천742명으로 11.9%였다.
직종별로는 사무직의 경우 53.6%가 직능급을, 18.9%가 직무급을 받아 모두 72.5%가 능력과 직무에 따라 급여를 배정받았다. 반면 연구직은 호봉급이 49.9%를 차지한 가운데 직능급이 27.5%에 머물렀다. 판매 및 서비스직도 호봉급이 54.3%, 생산직은 78.8%에 달했다.
총임금 중 성과급 비중은 '10%미만'이라고 답한 업체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수가 15만7천763명(43.9%)으로 가장 많았다. '10~20%미만'은 10만8천806명으로 30.3%, '20~30%미만'은 5만1천504명으로 14.3%의 비중을 보였다. 평균 비중은 14.5%로 우리나라 100인 이상 사업장의 평균 성과급 비중 5.8%보다 약 1.5배 높았다.
응답기업은 현행 임금체계의 문제점으로 50.8%가 성과가 달라도 보상 수준이 비슷해 무임 승차자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직무별 임금차등이 어려워 고급 인력 유치에 난항을 겪는다는 업체는 19.4%,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는 곳이 8.8%로 뒤를 이었다.
◆기업들, 급여 변별력 확대 지향
기업들이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임금체계 개선 사항에 대한 설문도 뒤따랐다. 가장 많은 30.6%가 '기본급 인상률 차등 제도 도입'이라고 답했다. 임금에 연공성을 줄이고 성과급 비중을 확대한다는 의견이 27.6%, 업무의 중요성과 난이도를 임금 수준에 반영한다는 의견은 21.2%였다.
정부는 지난 2015년 12월 공무원 보수체계 개편 계획을, 올해 1월에는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확대 방안을 발표하면서 임금체계 개편을 적극 추진해온 바 있다.
한편 기업들은 호봉급을 유지하는 이유에 관해 '기존 관행상 유지(39.0%)', '노조의 호봉급 폐지 반대(24.6%)', '호봉급을 대신할 대안 부재(15.3%)' 순으로 답했다. 특히 유노조 기업은 '노조의 호봉급 폐지 반대'(33.7%)'를 가장 주요한 이유로 꼽았다.
호봉급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으로는 50.8%가 장기 근속자에 대한 고용유지 부담을 예로 들었다. '근로자 성과 관리의 어려움(28.0%)', '경기변화에 능동적 대응이 어려움(9.3%)' 등의 답변도 나왔다. 유노조 기업의 60.5%는 장기 근속자에 대한 고용유지 부담을 지목해 가장 많은 비율을 보였다.
전경련 송원근 경제본부장은 "주요 대기업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임금체계 개편을 꾸준히 진행해 직능급과 직무급 도입 비율이 이미 절반에 가까운 수준"이라며 "기본급 인상률 차등 제도 도입, 성과급 비중 확대 등 직무 능력과 성과 중심의 임금체계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라고 했다. 또 "많은 대기업이 상황에 맞게 임금체계를 개선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설문 조사는 금융권을 제외하고 지난 2014년 12월 기준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 기간은 지난 3월 24일부터 4월 18일까지, 조사 방법은 이메일을 통한 조사와 팩스 조사가 병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허용 표본오차 6.11%p 수준이다.
/이원갑기자 kalium@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