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송무기자] 4.13 총선을 마무리한 여야 정치권이 차기 지도 체제 구성에 들어가면서 잡음이 나오고 있다. 차기 지도체제는 내년 대선 정국을 준비해야 한다는 점에서 총선 민심이 반영될지 여부에 관심이 높다.
총선을 통해 심판받은 새누리당은 개혁이 최대 이슈다. 총선 패배의 책임을 진 김무성 대표 및 최고위원들이 집단 사퇴한 가운데 원유철 원내대표를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게 했지만 이마저 비박계의 비토를 받았다.
비박계들은 총선 패배의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은 원유철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으로 당의 수습을 맡기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집단 행동에 나설 뜻을 보였고, 원 원내대표는 결국 빠른 시간 내 원내대표를 선출해 비대위원장 직을 이양하겠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의 차기 당권은 4.13 총선 패배의 가장 큰 원인인 당내 계파 갈등 해소에 무게가 실릴 것으로 보인다. 당초 강력한 당권주자로 거론됐던 최경환 의원은 총선 패배 책임론으로 당권에서 멀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대신 친박계지만 계파 색이 옅은 이주영 의원, 비박계 정병국·나경원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와 함께 새누리당은 대선을 위한 당 개혁에도 무게를 실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당 외부 영입설도 나온다. 야당 출신으로 총선을 도운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이나 김황식 전 국무총리,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의 이름도 나오고 있지만 차기 당권이 대선을 관리해야 한다는 점에서 외부 인사설이 힘을 얻기는 쉽지 않다.
◆힘 잃는 김종인 합의추대설, 정세균·박영선·송영길·김진표·정청래 거론
더불어민주당은 총선을 승리로 이끈 김종인 비대위원회 대표의 합의 추대설이 나왔지만, 이는 주류의 반발에 부딪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청래 의원은 자신의 SNS를 통해 "식당에서 '물은 셀프입니다'라는 말은 많이 봤으나 셀프공천에 이어 셀프대표는 처음 들어보는 북한식 용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당내에서는 김 대표의 합의 추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계속되고 있어 사실상 무산되는 상황이다.
김 대표는 경선을 통하면서까지 대표직을 맡을 생각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위기에 처한 당을 총선 승리로 이끈 리더십에 대해서는 인정받는 상황이어서 여전히 강력한 당권 후보로 볼 수 있다.
김 대표와 함께 거론되는 당권주자는 정치 1번지인 종로에서의 승리로 대선주자로 각광받고 있는 정세균 전 대표, 박영선 전 원내대표, 송영길 전 인천시장, 김진표 전 의원, 정청래 의원 등이다.
더민주는 이르면 20일 전당대회준비위원회와 조직강화특위, 선거관리위원회 등 전대에 필요한 기구 구성을 끝내고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준비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할 예정인 가운데 차기 당 대표로는 정권 교체를 위한 수권 정당화를 이룰 수 있느냐가 될 전망이다.
◆국민의당 다시 안철수설 속 천정배·박지원 등 검토
국민의당도 차기 당권의 향배에 관심이 많다. 4.13 총선에서 호남을 석권하면서 38석이라는 성과를 냈지만, 신생정당으로 아직 기반이 튼튼하지 못한 것이 문제다.
이 때문에 국민의당 내에서는 안철수 상임공동대표가 대표직을 이어가야 녹색 바람이 이어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문제는 안 대표가 대선에 나가기 위해 대표직을 4개월 밖에 수행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안 대표 본인도 지난 18일 기자들에게 "국민의당 당헌에 대선 1년 전에는 당직에서 사퇴해야한다고 돼있다"며 "그 정신 그대로 지켜야한다"고 말했다. 안 대표가 차기 당 대표가 돼야 한다는 의견에도 그는 "전 아무 고민 안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안 대표 외의 당권주자로는 천정배 공동대표, 박지원 의원, 정동영 전 통일부장관 등 더민주 출신 호남 인사들이 꼽히고 있다.
박지원 의원은 19일 SBS 라디오에서 "호남에서 유세를 다니면서 '호남을 대표해서 당권이건 대권이건 도전하겠다'는 얘기를 했다"며 "저는 어떠한 것을 (이미) 결정했다는 것은 없지만, 도전을 하겠다. 특히 당권에 대해서는 아직 우리 당 전당대회 일정이나 당내 체제가 사실 정비가 되지 않아서, 적당한 때 의사표현을 하겠다"고 했다.
천정배 공동대표 역시 당 대표와 대선 도전을 동시에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유력 인사들의 대권 도전이 결정된 후에야 국민의당 당권 구도가 정해질 가능성이 크다.
채송무기자 dedanhi@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