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송무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분당이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2007년 민주당과의 통합을 위해 23명의 의원들이 당을 나간 선도 탈당이 주목받고 있다.
안철수 의원 탈당 이후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태에서도 김한길 의원이 핵심 인사로 통합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점이 많기 때문이다.
당시 노무현 대통령의 지지율이 최악으로 떨어지면서 정권 재창출과 총선 승리 가능성이 낮아진 상황에서 김 전 대표 주도로 23명의 의원이 열린우리당 사수파에 맞서 탈당하면서 열린우리당을 사실상 붕괴시켰다.
2007년 탈당 당시 명분은 민주당과의 통합이었고, 이번 새정치민주연합의 분당의 명분은 안철수 의원 등 야권 재통합을 통한 총선과 대선 승리다. 또한 당시와 지금 김한길 의원이 맞서고 있는 세력이 친노 주류라는 점도 눈길을 끈다.
당시 임종인·천정배·염동연·이계안·최재천 의원이 우선 탈당한 후 김한길 의원과 강봉균 의원이 주도한 열린우리당 23명이 탈당했고, 현재 분당 사태에서는 대선주자인 안철수 의원의 탈당 이후 문병호·유성엽·황주홍·김동철 의원이 탈당했고, 23일 광주 비주류인 임내현 의원이 탈당과 안철수 신당 합류를 선언했다.
이후 비주류의 당내 투쟁도 본격화됐다. 야권 분열을 이유로 총선 승리를 위해 문재인 대표가 대표직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비주류의 동반 탈당도 예상되고 있다. 비주류를 이끌고 있는 김한길 전 대표와 박지원 의원이 문재인 대표에 최후 통첩을 한 상황이다. 수도권과 호남에 영향력이 있는 두 의원이 탈당하면 20여명의 동반 탈당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두 의원들은 서로 교류하며 거취와 관련한 의견을 나누고 있다.
다만 현재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사태가 과거와 다른 점은 2007년에는 참여정부 심판론이 일면서 사실상 야권이 지리멸렬한 상황이었다는 것이다. 현재는 야권이 통합하면 총선 승리가 가능해 야권 지지층이 오는 총선에서 통합·단결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다.
이와 함께 문재인 대표가 총선 관련 권한을 내려놓고 일상적 당부만 수행하는 조기 선거대책위원회 안을 수용한 것도 과거와 다르다. 그동안 문 대표가 비주류의 2선 후퇴 요구에 정면 돌파 입장을 계속해왔다는 점에서 상당한 결단이다.
수도권 의원들과 중진 의원들은 이같은 안을 지난 22일 문재인 대표에게 제안했고, 문 대표는 23일 최고위원회에서 이를 수용했다. 이는 대표와 지도부가 20대 총선에 관한 모든 권한을 선대위에 위임하고 일상적인 당무만 보는 방안이다.
◆김한길·박지원 조기 선대위에도 찬 바람 "바뀐 것 없다"
일단 분당 사태의 키맨인 김한길 의원과 박지원 의원은 문 대표의 이같은 안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면서 상황 변화가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김한길 의원의 측근에 따르면 김 의원은 문 대표의 조기 선대위 수용 소식을 듣고 "제 고민의 주제는 총선에서의 야권승리로 어떻게 정권교체까지 실현할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측근은 "바뀐 것은 하나도 없다"면서 "당헌당규 상 대표의 권한에는 공천이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사실상 문 대표의 퇴진이 이뤄지지 않으면 탈당 등의 행동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박지원 의원도 본인의 SNS에서 "문재인 대표가 통합선대위를 구성하고 2선 후퇴를 수용하겠다는 보도"라며 "배수진을 치면 감동을 주지 못한다. 늦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의 측근은 "선대위는 당의 지도체제라고 할 수 없다"며 "대표가 사퇴를 하지 않으면 이후 대표의 권한 등을 놓고 논란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문 대표가 사실상 2선 후퇴 입장을 수용한 상황에서 야권 지지층이 어떻게 움직일지는 변수다. 비주류가 탈당의 명분을 제대로 얻지 못하면 오히려 야권 분열론의 책임이라는 역풍을 맞을 가능성도 있다.
현 비주류의 상당수가 수도권으로 새정치민주연합과 문재인 대표의 수도권 지지율이 상당해 분당이 현실화될 경우 당선이 쉽지 않다는 점도 결단을 어렵게 한다.
/채송무기자 dedanhi@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