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성장동력 'IoT' 내년엔 어떻게?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6대 전략 분야 선정해 IoT 적용 확대…일자리 등 경제적 효과 기대

[김국배기자] 내년부터 국내에도 사물인터넷(IoT) 확산에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IoT가 한국경제 재도약을 위한 핵심동력으로서 적극 육성이 필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성장, 청년일자리 창출, 사회현안 해결 등 국가적 과제를 풀어나가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IoT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올해까지 국내는 IoT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실증단지를 비롯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왔지만 아직까지 본격적인 확산은 미진한 편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K-ICT 사물인터넷 확산 전략'을 통해 IoT 확산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다. 시스코에 따르면 IoT가 창출하는 경제효과는 2013년부터 2022년까지 10년간 19조달러(공공 4조6천억달러, 민간 14조4천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속 'IoT', 한국 속 'IoT'

이미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 세계 주요국들은 저성장 시대의 새로운 돌파구로 IoT을 키우고 있다.

미국이 지난해 '사물인터넷 비전 행동 권고안'을 발표한 데 이어 일본은 올해 '일본재흥전략'을 개정·발표했다. 독일, 중국도 각각 '플랫폼 인더스트리 4.0', '인터넷 플러스 전략'을 올해 추진했다.

IoT를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인식하고 국가현안 해결, 공공부문 혁신, 민간부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 활용하는 모양새다.

특히 글로벌 시장에서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공정 및 생산 효율화 등에 IoT가 적극 활용되면서 다른 산업으로 확산을 견인하고 있다.

실제로 독일 지멘스 암베르크 공장은 센서를 통해 기계장비·부품으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집, 인종지능으로 분석해 불량율을 낮추고 있다. 100만개당 불량품 수가 2009년 19.0개에서 2014년에는 11.5개로 떨어졌다. 1989년 당시 100만개당 불량품 수인 500개와 비교하면 4000% 이상 향상됐다.

IoT는 첨단 의료 기기, 공장 자동화, 국방, 환경 등 전 분야에 확산돼 다양한 서비스와 제품이 보급될 것으로 예측된다. 맥킨지는 공장, 운송, 물류, 도시 등 9대 전략분야의 IoT 적용을 통한 경제적 효과가 2025년까지 최대 11조1천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본다.

또한 초기 디바이스(device) 비중이 높던 IoT 시장은 점차 SW와 서비스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점쳐진다.

센서, 디바이스 등 HW는 IoT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기반으로 초기에는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한 서비스 모델에서 더 큰 수익이 창출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영국 IoT 전문 컨설팅업체 매키나 리서치는 2022년에는 전 세계 IoT 시장 매출의 60%가 플랫폼 및 서비스 부문에서 발생할 것으로 전망한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서비스와 플랫폼이 각각 90%, 66%로 타 분야를 압도할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 IoT 시장은 아직 본격적인 확신이 이뤄지진 않았다.

아직 초기 시장 형성 단계로 대표적인 성공사례가 드물고 경쟁과 협력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만들어낼 환경과 역량이 부족하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불확실한 시장 탓에 사업실패에 대한 불안감으로 민간 투자도 소극적이다.

또한 아직까지는 글로벌 시장과 마찬가지로 하드웨어(HW)에 집중된 구조다. 2013년 전체 매출 2조3천억원 중 97.1%인 2조2천억원이 HW에 몰렸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IoT 성공 가능성이 높은 국가로 꼽히는 것도 사실이다.

최고의 ICT 기반, 창조경제를 통한 다양한 혁신기업 탄생, 기술 친화적 국민특성 등이 배경이다. IDC는 지난 2013년 한국의 IoT 준비 정도를 미국에 이은 2위 국가로 평가했다.

국내 IoT 시장은 2022년까지 연평균 29.1%의 고성장세 유지할 전망이다. 올해 약 3조8천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뒤 2022년에는 22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비즈 모델 발굴, 사업화 집중 지원…42만명 고용유발 효과 기대

이런 가운데 정부는 글로벌 IoT 선도국가를 비전으로 삼았다.

국내 시장 규모를 2014년 3조4천억원에서 2020년 30조원까지 확대하고 중점 추진분야별 세계 시장 점유율 3% 달성을 목표로 내걸었다.

그간 수요창출, 기업육성 등 초기 시장 활성화에 주력했다면 이제는 분야별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사업화를 집중 지원해 IoT 활용 확산을 촉진할 계획이다. 여기에만 2017년까지 1천318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이를 위해 헬스·의료, 에너지, 제조, 홈, 자동차·교통, 도시·안전 등 IoT 활용이 유망한 6대 전략 분야를 선정했다. 또한 각 부처가 참여하는 '사물인터넷 추진단'을 구성해 기존 실증사업 이외에 사업화가 가능한 서비스를 추가로 발굴, 사업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헬스·의료 분야에서는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산업을 창출한다. 미래부는 스마트 헬스케어 실증서비스를 통한 사업화에 나선 뒤 미국, 중동, 중남미 등 해외시장 맞춤 헬스케어 서비스 모델 개발과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제조 분야에선 '제조업 3.0 전략'이 추진된다. 미래부와 산업부가 조선, 화학 등 생산현장의 스마트화를 통한 생산성 및 경쟁력 향상을 꾀한다. CPS, 에너지절감, 스마트센서, 3D프린팅,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홀로그램 등 8대 스마트제조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자동차·교통 분야는 스마트카 기반 생활교통 서비스 구현이 시도된다. ICT, 자동차 분야 중소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실증사업이 추진되고, 자율주행차 인프라가 구축된다.

실도로에서 테스트가 가능한 '고속도로 테스트베드'도 만들어진다. 1단계는 서울TG~신갈JC~호법JC, 2단계는 전국으로 확대된다.

홈 분야는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홈 서비스 고도화 기술이 개발되며, 에너지 분야는 건물 에너지 관리 서비스가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도시·안전 분야는 구도심에도 적용할 수 있는 저비용·고효율 스마트시티 모델을 개발한다.

센서 및 디바이스 경쟁력 확보, IoT 전용네트워크 구축, 플랫폼 개방 및 공유 확산, 표준화 대응 등 IoT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선 2017년까지 574억원의 예산이 쓰인다. 또 보안 내재화 등 IoT 활용 공통 기반도 강화한다.

이렇듯 IoT가 전 산업에 접목돼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시장과 일자리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방대한 데이터, IoT 기술과 타산업간 융·복합 등이 이뤄지는 다양한 혁신으로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가 창출되고 경제구조가 개편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에 따라 2020년까지 생산유발 57조원, 부가가치유발 13조원, 고용유발 42만명의 효과가 기대된다. 더불어 지능화된 제품과 개인화된 서비스로 풍요로운 생활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국배기자 vermeer@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한국경제 성장동력 'IoT' 내년엔 어떻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



포토 F/O/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