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태훈기자] 국내 반도체 산업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 정부가 막대한 자본을 투입, 반도체 설계부터 제조, 장비·부품까지 전방위적으로 반도체 산업 육성에 나선 때문.
세계 메모리 반도체 1위 업체인 삼성전자마저 중국의 파상 공세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국내 반도체 업계가 신성장산업 등에 선제 대응하지 못하면 위기가 현실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기남 삼성전자 사장은 10일 국회 의원회관서 열린 신성장산업포럼에서 "중국의 거센 추격에 대한 기민한 대비책과 신정상사업에 선제 대응하는 치밀한 계획을 세워야한다"며, "향후 5년을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향배가 갈릴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삼성전자는 20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공정기반의 D램과 14나노미터 공정기반의 모바일AP 등 경쟁사 대비 앞선 미세공정 기술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M&A를 통해 몸집을 불리고 있고, 막대한 자본을 앞세워 극자외선(EUV) 장비를 먼저 도입하는 등 공격적인 행보를 예고하고 있어 이같은 기술격차를 단숨에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더욱이 우리 정부는 내년도 반도체 신사업 예산을 사실상 '제로'로 편성, 국내 중·소 반도체 업계 위기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 정부 들어 반도체 연구개발(R&D) 사업이 옛 지식경제부에서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 매년 예산증액이 줄고 있는데다 내년도 예상 증액분도 앞서 진행 중인 과제의 미달분을 채우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반도체 업계 관계자들은 정부가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한 R&D 예산 증액과 핵심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 벤처 기업 활성화를 위한 세재 개편 등을 적극 추진해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지니틱스 손종만 대표는 "국내 중·소 반도체 기업에 인력수급을 위해서는 대기업 선호 문화를 탈피할 수 있는 환경 구축이 필요하다"며, "이는 팹리스가 성공하고, 그 공을 구성원과 나눌 수 있는 환경으로 세재혜택, 자금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국내 일자리 창출을 위해 창조혁신센터를 건립, 활발히 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처럼 반도체협회 내 '반도체창조경제혁신센터'를 구축해 창업지원 및 인력·투자 지원, 고가의 EDA 툴 지원 등에 나서야한다는 것.
구용서 대한전자공학회 수석부회장은 "최근 (중국의) 추격을 받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해법은 핵심인재 확보"라며, "이를 위해서는 정책적인 지원이 가장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지난해 1천200억 위안(한화 21조 7천560억 원)규모의 '국가 집적회로(IC) 산업 투자 펀드'를 조성, 오는 2017년까지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전방위적인 투자를 진행 중이다.
이는 제조 부문에 40%, 설계 부문에 30%, 장비·부품 등에 30%씩 집행될 예정이다. 또 중국 정부는 적극적인 M&A를 통한 핵심인력, 메모리 반도체 경쟁력, 시스템 반도체 기술력을 확보,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미래 성장사업에 대한 선제적 투자도 진행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최근 중국 국영 기업인 '칭화유니그룹'은 자회사 유니스플렌더를 통해 세계 1위 HDD 기업인 '웨스턴디지털' 지분 15%를 인수한 바 있다. 또 지난달에는 웨스턴디지털을 통해 샌디스크를 우회 인수,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한 SSD 시장 진입을 예고한 상태다.
또 지난 9일에는 자회사 퉁팡궈신에 800억 위안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실시, 600억 위안(한화 10조 7천억 원)을 투입해 메모리 반도체 양산을 위한 생산라인(팹) 건설 계획도 밝혔다.
/양태훈기자 flame@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