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혜경기자] 하나금융경영연구소(소장 배현기)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1%에서 2.7%로 하향 조정했다. 최근 발표된 주요 연구기관 전망치 가운데 가장 낮다. 최근 한국금융연구원이 2.8%, 산업연구원이 2.9%, 한국개발연구원(KDI)는 3%, 한국은행은 3.1%를 제시한 바 있다.
연구소는 23일 발표한 ‘2015년 하반기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하반기 중 유가 하락과 금리 인하로 인한 구매력 개선과 주택시장 호조로 인한 건설투자 증가는 긍정적"이라고 봤다. 그러나 "중국 등 신흥국의 부진과 원/엔 환율 하락 등으로 수출 감소세가 이어지고, 올해에도 대규모 세입결손으로 인한 정부지출 부진이 예상된다"며 올해 우리 경제가 2%대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소의 김영준 연구위원은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등 내수의 성장기여도가 높아지겠지만, 성장률을 끌어올리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진단했다.
연구소는 저금리·저유가로 인한 실질구매력 개선에 따라 민간소비는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비소비지출(이자, 보험 등) 부담 증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 등의 영향으로 개선 효과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설비투자는 제조업 유휴설비 존재와 기업의 해외투자 선호 등으로 낮은 증가에 그칠 것으로 봤고, 건설투자는 건축부문을 중심으로 회복세가 이어지겠으나, 세수부족에 따른 사회간접자본(SOC)투자 위축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관측했다.
수출의 경우, 신흥국 경기부진과 석유류 수출가격 하락 등으로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으나, 수입이 더욱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연간 경상수지 흑자폭은 사상 처음으로 1천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물가는 인플레 기대심리 약화와 수요측면의 물가압력 부재 등으로 연간 0%대 상승률에 그칠 것으로 판단했지만, 4분기 이후에는 유가하락의 기저효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대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시중금리 상승 예상…원/달러 환율 하락세 재개 전망
연구소는 아울러 시중금리는 장기금리를 중심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美 연준의 금리인상과 물가 상승압력 강화로 글로벌 국채시장의 약세가 지속된 영향을 받을 것이란 시각이다. 이 연구소의 김완중 팀장은 그러나 “경기부진으로 하반기 추경편성이 유력해졌다”며 “정책공조성 추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환율의 경우, 이 연구소의 장보형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과거 연준의 금리인상 경험이나 달러화 강세의 부작용 우려 등을 감안할 때 달러화의 일방적인 강세가 지속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하면서, 연준 금리 인상을 앞두고 진행된 글로벌 달러화 강세는 하반기 중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또한, 원/달러 환율은 엔저 리스크 등의 불안요인에도 불구하고 연준의 신중한 행보와 원화의 준(準)안전자산 지위 등으로 하락세(원화강세)를 재개할 것으로 봤다.
◆저성장·저물가 일상화…재정·통화확대 정책과 과감한 구조조정 필요
한편,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저성장·저물가 환경이 일상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2011년 이후 5년째 분기별 성장률이 평균 0.7%(연율 2.8%)에 그치고, 소비자물가가 3년째 한은의 물가안정목표(2.5~3.5%)를 하회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어 가계부채 부담, 빠른 인구 고령화, 투자심리 부진, 세계교역 둔화 등의 구조적인 흐름을 감안할 때 이와 같은 상황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연구소는 저성장·저물가 환경이 계속될 경우 가계부채 관리부담과 기업 신용위험 리스크가 높아지면서 금융권의 영업환경을 지속적으로 압박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 하반기중으로 예상되는 美 연준의 금리 인상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될 경우 금리 반등 및 외화부채 환산손 등으로 금융권의 실적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김영준 연구위원은 "성장에 대한 눈높이를 낮추기에는 이르다"면서도 "재정 및 통화정책의 조합과 과감한 구조조정을 통해 경제전반의 역동성 제고를 시도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이혜경기자 vixe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