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송무기자]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후보가 야권 대선후보 단일화 신경전을 시작한 상황에서 그 방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당초 이야기가 나오던 담판에 의한 단일화 방안은 이제는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다수를 이루고 있다. 100만명에 이르는 선거인단에 의해 후보로 선정된 문재인 후보가 양보하기 어려운 상황이고, 안철수 후보 역시 '건너온 다리를 불살랐다'고 할 정도로 완주 입장이 확고하다.
이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일정 기간 문재인·안철수 후보가 각자 지지율을 극대화하는 노력을 거친 뒤 경선 등 지지층을 설득할 절차를 거친 야권 후보 단일화가 현실적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문재인·안철수 후보는 단일화를 앞두고 권력분점형 정부 구성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대통령 권력을 줄이는 책임총리제 도입이 야권의 후보 단일화의 연결 고리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 있게 제기되고 있다.
안 후보 측에서는 대통령이 통일·외교·국방을 담당하고 내치는 국무총리가 총괄하는 일종의 '책임총리제'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문재인 후보는 이미 지난 5월 안 후보를 겨냥해 공동정부 구성을 거론한 바 있다. 그러나 문제는 누가 '대통령'이 되고, 누가 '책임 총리'가 되느냐다.
야권의 후보 단일화 방안은 지난 2002년 노무현·정몽준 후보의 단일화 안처럼 여론조사에 의한 방안, 지난해 10.26 서울시장 재보선 당시 박원순·박영선 후보가 했던 여론조사+현장 투표안, 민주통합당 경선 후보들이 한 모바일 선거인단+현장 투표를 합한 경선 방식이 거론되고 있다.
야권 단일화가 좌절되는 경우 역시 가능성이 존재한다.
당초 압도적인 지지율의 안철수 후보가 여론조사 방법이 유리하고, 제1야당의 조직을 가진 문재인 후보가 현장 투표 등 조직 선거에서 유리하다는 분석이 많았으나 최근 문재인 후보의 지지율이 크게 오르면서 민주당 내에서는 '여론조사도 해 볼만 하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이 중 민주당 경선에서 있었던 모바일 선거를 통한 방안에 대해서는 안철수 후보 측에서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이미 민주당 경선 당시에도 여러 잡음과 공정성 문제가 제기된 만큼 조직이 약한 안 후보가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리다.
그러나 야권 단일화 방안은 무엇보다 단일화 논의가 본격화될 10월 하순 경에 양 후보의 지지율이 어떤 추이를 나타내느냐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크다.
한편, 문재인·안철수 후보의 단일화는 이후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와의 본선 경쟁을 상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몇 가지 전제를 갖춘 단일화가 될 수 있는지도 관건이다.
정치 쇄신을 주장하고 있는 문재인·안철수 후보가 구태 정치로 보이는 단일화 룰 다툼을 지나치게 오래 한다면 야권 단일화가 오히려 두 후보에 상처로 남을 가능성이 있다. 두 후보가 경쟁하되 각자의 경쟁력을 최대한 보전한 단일화가 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한, 야권의 후보단일화가 각자의 지지층을 온전히 견인할 수 있는 단일화가 돼야 한다. 국민들은 두 후보간 지역-인적 단일화를 이미 지난 1997년과 2002년 대선 당시 경험했다. 이제 두 후보의 단일화가 새로운 시대를 바라는 국민들에게 어떤 답을 줄 수 있는지 야권은 논의해야 할 시점이라는 지적이다.
/채송무기자 dedanhi@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