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남기자] 정부의 안이한 대처에 국민은 올 겨울 블랙아웃((blackout)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블랙아웃은 '대정전' 사태를 일컫는 말로 전기 공급이 안돼 전국이 암흑 세계로 빠져드는 상태를 일컫는다.
지난 9.15 순환 정전 당시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은 블랙아웃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3일이면 충분하다고 말했으나, 이후 국회 지경위 국감에서 김영환 지경위원장은 불랙아웃이 되면 일주일 이상은 전국이 암흑 속에 빠진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일주일 간 암흑 세계에 빠질 경우 우리나라는 상상하기 어려운 대혼란 속에 빠질 것으로 보인다.
전기 공급이 안돼 주택과 공장, 상점 등에 발생하는 피해는 둘째치고, 기차·지하철 등 주요 사회간접자본(SOC)과 북과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군사시설 등 주요 시설에 큰 타격을 입게 된다.
피해가 이쯤에서 그치면 다행이겠지만 어둠은 우리의 시야를 가려, 사회적 폭동도 유발할 수 있다. 최근 유럽 일부 국가에 발생한 정전으로 시민들이 약탈과 폭력을 일삼는 등 커다란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는 외신 보도를 접했다.
정전 피해는 여기서 끝나는 게 아니라 피해 복구를 위해서는 짧게는 몇 개월 길게는 1년 이상 소요된다는 점이다. 그 대표적인 게 정유시설이다.
이 같은 블랙아웃 상태가 올 겨울 우리나라를 덮칠 수도 있다는 우려는 높다.
지난 13일 울진 원자력발전소 1호기(하루 발전량 95만㎾)가 정지된데 이어 14일에는 고리 원전 3호(95만㎾)가 정지됐다.
이에 앞서 지난 8일에는 울산화력 5호기(40만kW)가 터빈 베어링 이상으로 멈췄다. 여기에 울진 4호기(100만㎾), 5호기(100만㎾), 월성 4호기(70만㎾) 등도 예방정비에 들어간 상태라 전기를 생산하지 못하고 있다.
이들 원전 5호기와 화력 1호기의 하루 전력 생산량은 500만㎾로, 16일 현재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예비전력 408만㎾를 훨씬 상회하는 것이다. 또 이는 지난 9.15 순환정전 당시 정부가 발표한 예비전력 400만㎾도 웃도는 양이다.
다만, 울진 1호기는 이날 100% 정상 가동에 들어 갔고 고리 3호기도 재가동, 17일에는 정상 가동을 시작할 것이라고 지경부는 설명했다.
하지만 이 같은 고장이 항상 도사리고 있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울진 1호기는 1988년, 고리 3호기는 1985년 각각 상업운전을 시작해 노후화화됐다.
일반적으로 시멘트와 철골 주구조물인 아파트가 20년이 지나면 재건축에 들어가듯이 이미 이들 원전은 폐쇄 시점이 한참이나 지났다.
정부는 그러나 이들 원전의 철거를 일축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원전 인근 지역 주민들은 정전으로 인한 불편보다, 원전 정지시 지난 3월 일본 동북부지방에 발생한 지진에 따른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떠올리면 불안해 하고 있다.
아울러 지경부는 지난 2일 전기 요금 추가 인상안을 발표하면서 국내 발전사들이 지난 9일을 기점으로 예방 정비를 마무리, 겨울철 전력 공급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확인된 바로는 월성 4호기는 21일, 울진 5호기는 오는 22일 각각 정비를 마치고 가동에 들어간다. 울진 4호기는 내년 4월 이후에나 가동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무 부처로서 정말 어처구니 없는 일처리가 아닌가 싶다.
발전소 건립에는 원자력이 10년, 석탄화력이 7년, 액화천연가스(LNG)가 최소 4년이 각각 소요된다. 이를 감안하면 향후 4년 간 우리나라는 블랙아웃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다행히 정부는 오는 2012년 신월성 1호기(100㎾)에 이어, 2013년 신월성 2호기(100㎾)의 상업운전을 시작한다. 또 지경부는 이들 외에도 원전과 열병합, 풍력 발전기 등 10기 가량의 발전 시설을 순차적으로 가동할 예정이다.
이들 발전기들이 전력을 생산하기까지 전력난 극복을 위해서는 전기절약과 함께 정부의 철저한 시설 점검이 필수다.
지난 1월 한파로 하루 최대 전력사용량이 종전 여름철에서 겨울철로 이동했다. 부족한 전력을 아껴 사용하는 성숙한 시민의식과 정부의 철두철미한 전력 대책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시점이다.
/정수남기자 perec@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