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지상파DMB가 5주년을 맞은 가운데 자생력을 키우려는 해당 업계 노력이 포착되고 있다.
지상파DMB 업계는 재도약을 위해 개통료 추진, 방송 수신 설비 의무화, 재난방송 SOC 등 전략을 무수히 내세웠다. 하지만 대부분 정부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것이어서 공염불로 돌아간 사례가 더 많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상파DMB 업계가 숙명적 과제인 음영지역 해소와 수익 구조 개선 등 자생력 키우기 방안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이동통신망 연계를 통한 음영지역 해소, 스마트폰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스마트 DMB' 등을 독자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광고 효과 산출을 위한 노력도 이어가고 있다. 내년 지상파DMB가 광고 매체로서 우수한 부분을 설문조사 등을 통해 증명해 광고주들로부터 신뢰를 얻는다는 계획이다.
지상파 DMB 업계 한 관계자는 "내년이 지상파DMB의 생사를 가르는 한해가 될 것으로 본다"며 "좋은 콘텐츠를 확보하고 재정 안정성을 확보하는 한편 신성장동력을 창출하는 과제가 닥쳤다"고 밝혔다.
◆수익 창출 '분주'...내년 시장 규모 2배이상 늘어야
지상파DMB 사업자들의 현재 주요 수익원은 광고, 채널 임대 등이다.
지난해 지상파DMB 6개 업체의 전체 수익은 총 124억원이며 올해는 약 210억 정도로 추산된다. 매년 조금씩 수익이 개선되는 추세이나 각 사업자들의 적자는 여전한 실정이다. 업계는 이 시장이 적어도 500억 규모가 형성돼야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이에따라 내년 본격적으로 광고 효과 데이터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객관적인 증거를 만들어 광고 매체로서 인정받는다는 복안이다.
지상파DMB특별위원회(이하 지특위) 이희주 대외협력실장은 "광고 효과를 증명하는 데이터를 만들어 대행사 등에 전달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며 "시청률 조사 측정이 가장 정확하지만 업계 특성상 진행되지 않고 있어 지특위 차원에서 광고주들을 조사해서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채널 임대에도 적극 나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상파DMB 6개 사업자는 정부로부터 3~4개의 채널을 운영할 수 있는 주파수를 할당받았다.
초기 몇 개에 불과하던 TV 채널이 12월 현재 수도권 13개, 지역 권역별 5개로 늘어난 것도 채널 임대 덕택이다.
업계는 조만간 종편 사업자가 선정되면 추가 채널을 더 론칭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스마트폰 환경 적응, 사활"
지상파DMB 단말기는 올해 6월말 기준 3천416만대로 휴대폰 2천305만대, 차량형 806만대로 추산되고 있다. 2008년 1천500만대, 작년 약 2천500만대에서 올해 약 3천500만대로 매년 1천만대씩 늘어난 셈이다.
특히 올해 삼성, LG 전자 등이 애플 아이폰과 차별을 두기 위해 갤럭시, 옵티머스 등 스마트폰에 지상파DMB 기능을 기본 탑재한 효과가 컸다.
하지만 스마트폰에서 지상파DMB가 '킬러앱'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높다.
최근 해당 업계는 채널에 특징을 더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유원미디어의 경우 과거 종합 편성을 과감히 버리고 프로야구, 배구 등 스포츠 중계에 매진하고 있다.
업계는 스마트폰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스마트DMB' 사업도 추진 중이다. 방송을 시청하면서 투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
또한 이동통신망과 연계해 지하 등 음영지역에서도 끊김 없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빠르면 내년 하반기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특위 이희주 대외협력실장은 "지난 5년은 어려운 시기였고 내년은 활로를 모색할 수 있는 기회라고 본다"며 "광고 매출 신장, 커버리지 확대에 힘쓸 것이지만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스마트폰 환경 적응이다. 적절한 서비스를 개발해 진일보하고 싶다"고 포부를 전했다.
방송통신위원회 손승현 뉴미디어정책과장은 "지상파DMB가 성장 궤도에 오르지 못했던 건 시청자 수신환경 개선 노력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하며 "수신환경 개선이 선행돼야 자체 광고에 대한 영향력도 커지고 수익모델이 나온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 차원에서는 활성화에 대한 고민을 같이 하고 규제 완화와 기술 개발 지원 등 방안을 준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김현주기자 hannie@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