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에서 다뤄지는 화학물질 중 노출 정도와 관련해 작업환경 측정이 이뤄지고 있는 물질이 28.9%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참여연대 등은 28일 '삼성반도체 공장의 화학물질 노출관리는 안전한가?'를 주제로 이같은 내용의 이슈리포트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지난 2009년 서울대 백도명 교수 등으로 구성된 반도체자문단 노출평가팀이 작성한 보고서 일부를 입수, 분석한 결과를 담았다.
이 이슈리포트에선 ▲삼성반도체 기흥공장 5라인에서 다루는 83종의 단일화학물질 중 삼성전자가 성분을 직접 확인한 경우는 전혀 없고, 물질의 독성에 대한 확인은 제품공급업자가 제출하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단일화학물질 10종은 영업비밀이라는 이유로 제조사가 제출하는 성분 자료조차 미흡하다는 점 ▲83종의 화학물질 중 노출관리를 위한 작업환경 측정이 이뤄지고 있는 물질은 24종으로 전체의 28.9%에 그치고 있다는 주장이다.
참여연대로부터 노출평가 자문보고서에 대한 검토 및 분석을 의뢰받은 임상혁 녹색병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소장은 "화학물질을 사용할 경우 독성이 얼마나 있는지, 또 독성이 있는 물질이 인체에 얼마나 노출되는지가 중요하다"며 "독성이 있는 화학물질이라 하더라도 노출이 없으면 유해성이 낮다고 할 수 있는 만큼 노출 관리 및 측정은 민감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슈리포트는 또 삼성반도체 기흥공장 5라인에서 지난 2009년 2월부터 7월까지 총 46건의 가스 검지기 경보가 울렸다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46건의 경보발생 원인 중 생산설비를 유지 및 보수하는 작업(PM) 때 표준작업절차(SOP)를 지키면서 작업했음에도 잔류가스의 영향으로 경보가 발생한 경우가 54%에 해당하는 25건에 달했다는 것.
이는 표준작업절차에 문제가 있거나 유해가스를 정화시키는 시간이 불충분하거나 설비에 이상이 있음을 의미한다는 게 참여연대측 설명이다.
임상혁 소장은 "자문보고서를 통해 그간의 삼성전자 주장과 달리 화학물질 노출관리의 문제점이 확인된 만큼 이에 대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해명을 내놓아야 한다"며 "반도체 공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백혈병 발병의 원인과 책임을 더이상 회피해선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반도체 산업은 아시아에 집중돼 있는 만큼 이 분야에 종사하는 노동자의 건강 문제는 반도체 산업을 주도하는 한국 정부가 풀어야 할 과제"이라고 덧붙였다.
참여연대 박원석 협동사무처장은 "삼성은 사안의 중대성, 민감성을 감안해 참여연대가 입수한 일부 보고서 외에 자문보고서 전체를 공개해야 한다"며 " 문제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측은 "참여연대가 공개한 삼성전자 기흥공장의 노출평가 부문 자문 보고서는 사업장 작업환경의 개선점을 찾기 위해 자문을 받는다는 데 목적이 있었기 때문에 최대한 비판적인 입장에서 분석됐다"고 공식 입장을 전했다.
이어 "화학물질 중 성분자료조차 확인이 안 된다는 10종은 납품업체에서도 영업비밀을 이유로 삼성전자에 성분을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게 알 수가 없는 것이지 유해하다거나 문제를 숨기기 위함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또한 "가스 검지기 경보가 46회 발령됐다는 건 삼성전자는 가스 감지 기준점을 법정 기준보다 훨씬 엄격하게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위험한 상황이 아닐지라도 대비하는 차원에서 초기 경보가 발령될 수 있다"며 "가스가 작업 공간으로 누출돼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한 적은 없다"고 강조했다.
/김도윤기자 moneyno@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