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화제의 中 전기차 '배터리 스와핑'…국내 도입 안하는 까닭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中 니오 도입한 배터리 교체 방식 주목…"충전 필요없어 간편"
국내 전기차 업계는 '글쎄'…"교환식보단 충전식 국제표준 될 것"

[아이뉴스24 강지용 기자] "7분 만에 전기차 배터리 교체, 중국이 해냈는데 한국에는 언제 도입되나요."

지난 10일 온라인 커뮤니티 '에펨코리아'에는 이 같은 내용의 글이 올라와 누리꾼들 사이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중국의 완성차 업체 니오의 배터리 교환소에서 전기차 배터리를 교체하는 영상을 본 후 "놀라운 기술이고, 우리나라에도 도입됐으면 좋겠다"는 긍정적인 의견과 "이제 휴대전화에도 교체식 배터리를 쓰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댓글로 양분되어 치열한 토론이 펼쳐졌다.

중국 충칭에 위치한 니오 배터리 교환소 [사진=니오]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니오와 지리자동차 등이 이 같은 '배터리 스와핑(Battery Swapping, 배터리 교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전기차 이용자가 교환소에 도착하면 배터리 교체 장비가 전기차 하부에 장착된 배터리를 떼어낸 뒤 미리 충전해 둔 새 배터리로 교체하는 방식이다.

배터리 소유권은 자동차 제조사나 배터리 교체 회사가 갖게 되며, 차량 소유자는 월 사용료 또는 임대료를 지불해 사용하는 구독제 방식이다. 2021년 기준 중국 내 배터리 교환소는 1천406개소이며, 2025년 3만개 이상에 이를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전기차는 급속 충전의 경우에도 1시간가량 걸리고, 전국에 대다수를 차지하는 완속 충전기로는 최대 10시간이 소요되기도 한다. 반면 니오의 경우 배터리를 교체하는 데 5~7분이면 충분하다. 통상 전기차 소비자 가격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배터리를 임대 방식으로 판매해 초기 구입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ACR). 전기차 자동 충전 로봇은 전기차 충전기의 케이블을 대신 들어 차량 충전구에 체결해주고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를 제자리에 돌려놓는 외팔형 로봇이다. [사진=현대자동차그룹]

◆ 무협 "급속 충전으로 가는 과도기에 활용할 가치"

우리나라도 한때 배터리 스와핑 방식의 도입을 검토하기도 했다. 지난 2021년 문재인 전 대통령은 충북 오창 LG에너지솔루션 제2공장에서 열린 'K-배터리 발전전략 보고'에 참석해 "전기차 배터리를 대여하거나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도 도입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지난해 11월 '전기차 배터리 스와핑의 우리나라 도입 검토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중국 전기차 배터리 스와핑 시장 규모가 2021년 45억 위안(8천400억원)에서 2025년 1천억 위안(18조원)으로 불어날 것으로 전망하며 국내 도입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협회는 "배터리 스와핑 방식에선 신규 충전소 건립 수요가 크지 않아 국토 이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급속 충전으로 가는 과도기에 배터리 공급 방식의 다양화 방안 중 하나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기차 이용 고객이 SK동탄주유소의 전기차 충전기로 셀프 충전을 하고 있다. [사진=SK에너지]

◆ 업계 "중국만 가능한 방식…충전식이 국제 표준"

하지만 최근 국내 전기차 업계에서는 중국의 방식이 한국의 여건과는 맞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폐쇄적이고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중국에서는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한국은 단일 모델 판매량이 적어 표준화가 쉽지 않은 데다 교환소 설치 어려움으로 경제성이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각형·원통형·파우치형 등 배터리 종류가 천차만별이고, 이를 쓰는 전기차 모델도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인프라 구축 비용 문제도 크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배터리 교환소 설치에는 전기차 충전소에 비해 10배의 비용이 들어간다. 부지도 주유소만큼 넓어야 한다.

신정호 SK시그넷 대표는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3 테크데이에서 기자들과 만나 "모든 전기차의 배터리를 교환하는 사업을 하기엔 재고를 확보하는 것 등에 막대한 재원이 들어 경제성을 갖기가 어렵다"며 "중국 밖의 모든 완성차 업체로 퍼져나가기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아이오닉 5' 생산라인 [사진=현대자동차]

특히,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미국에선 배터리와 차량 플랫폼을 일체화하는 것이 최근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현대자동차그룹이 개발한 전기자동차 전용 플랫폼 E-GMP(Electric Global Modular Platform)도 마찬가지다. 플랫폼에 배터리가 고정돼 있어 배터리 스와핑 사업이 기술적으로 비효율적일 수밖에 없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술이 빠르게 발전해 날이 갈수록 배터리 충전 시간이 줄어들고 있고, 전기차 주행가능 거리도 길어지고 있다"며 "교환식보다는 충전식이 국제 표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정부와 업계의 관건은 교환식이 아니라 국내 충전 인프라를 획기적으로 늘리는 것에 있다"고 덧붙였다.

/강지용 기자(jyk80@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초점] 화제의 中 전기차 '배터리 스와핑'…국내 도입 안하는 까닭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



포토 F/O/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