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챗GPT에 대한 기대와 우려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챗GPT 초기화면
챗GPT 초기화면

[아이뉴스24 최상국 기자] 오픈AI가 지난해 11월 30일 공개한 인공지능 챗봇 '챗GPT(ChatGPT)'의 인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출시한 지 일주일 만에 100만 사용자를 확보하면서 입소문을 타더니 며칠 전에는 하루 사용자 수가 1천만명을 돌파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전체 사용자 수는 이미 5억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지 불과 2개월도 채 지나지 않은 시점이다.

가히 신드롬이라 할 만한 열풍이다. 챗GPT를 사용해 본 사람은 누구나 그 기능과 성능에 혀를 내두른다. 간단한 답변은 물론 논문요약, 보고서 작성, 문제풀이, 프로그래밍, 시와 소설, 블로그 포스팅, 광고제작, 기사쓰기 등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세상의 모든 것들을 이 인공지능 챗봇은 완벽한 문법과 풍부한 지식으로 질문자에게 대답해 준다.

2021년까지의 데이터만 학습한 상태라는 한계로 인해 우리나라 대통령을 아직 문재인이라고 하는 등 최신 정보에 취약하고, 잘못된 정보도 그럴듯하게 사실처럼 서술하는 단점이 지적되지만 챗GPT의 매력을 떨어뜨릴 만큼은 아니다.

더욱이 지금도 챗GPT에 질문공세를 퍼붓고 있는 수억명의 질문데이터가 피드백되고 있는데다 다음 버전인 GPT4가 예고된 상황이어서 조만간 인간과 구분할 수도 없고, 인간은 따라하기도 힘든 초거대AI의 지식세계를 맞이할 것은 분명해 보인다.

정보기술(IT)업계는 초비상이다. 챗GPT가 등장하자마자 구글이 코드레드를 발령했다는 소식이 대표적이다. 아직 수익모델도 없어서 개발과 운영에 필요한 천문학적인 비용을 지속적으로 조달해야 하는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천하의 구글조차 호들갑을 떠는 것이 의아하기는 하지만 그만큼 챗GPT의 파급효과가 엄청나다는 것을 보여준다.

파장은 IT 업계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 전반에 확산되고 있다. '언어'는 인간의 지적 활동의 거의 대부분이라고 표현해도 과하지 않을 정도로 모든 분야에 관련돼 있기 때문이다. 후속 버전인 GPT4는 언어 뿐만 아니라 이미지(영상)와 목소리(음성)까지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나올 것이라고 한다. 사람의 신체감각과 그에 따른 반응행동까지 '이해'하고 '추론'하는 인공지능이 곧 탄생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반면 경계의 목소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처럼 막대한 전산자원과 전력공급이 필요한 초거대인공지능은 초거대 자본 없이는 불가능하다. '입장료만 1천억원'이라고 할 정도로 개발과 운영에 너무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 이 때문에 오픈AI에 10억달러를 투자했던 마이크로소프트가 최근 100억달러를 추가 투자하고 독점 라이선스를 확보한다는 소식에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모든 이에게 AI의 혜택을 돌려주겠다던 오픈AI조차 특정 기업의 소유가 되면서 초거대자본의 AI독점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물량공세 기반의 AI가 지속가능할 지에 대한 의문도 생긴다. 초거대AI는 최소 10억개 이상의 변수를 처리해야 하는 초거대 하드웨어 인프라를 필요로 하지만 아직까지도 뾰족한 수익모델이 없기 때문이다. 막대한 에너지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 논란, 학습에 사용된 데이터의 저작권 논란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다. '챗GPT의 구글 검색 대체 가능성'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챗봇의 장점은 구글링에 필요한 시간을 줄여주고 잘 정리해 주는 데 있지만 정보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다.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대표적인 분야인 학술계는 '챗GPT'에 레드카드를 꺼내들기 시작했다. 벌써 '챗GPT'를 공저자 목록에 올린 논문이 4편이나 등장하자 유명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를 경계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네이처지(紙)는 지난 24일 "ChatGPT는 논문의 공동 저자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공식 발표했다. "저자는 연구에 대한 책임이 따르며 AI는 그런 책임을 질 수 없기 때문"이다.

오·남용도 걱정이다. 늘 그렇듯이 새로운 도구가 발명되면 이를 악용하는 자들이 생기기 마련이다. 챗GPT는 아름다운 시와 소설도 잘 쓰지만 누군가는 스팸이나 악성코드, 가짜뉴스, 보이스피싱 시나리오 작성에 활용할 것이다.

이 때문에 그동안 선언적으로만 그쳤던 인공지능 윤리나 활용원칙 마련 등을 이제는 진지하게 시작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규제가 만능은 아니지만 개발윤리 뿐 아니라 사용윤리도 시급하게 정립해야 할 때다.

무엇보다 인공지능을 잘 활용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격차는 일상에서도 더욱 크게 벌어질 것이 분명해 인공지능 활용과 적응을 위한 교육도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챗GPT만 보면 코딩교육 보다는 질문할 줄 아는 사람을 길러내는 교육이 더 중요해 보인다.

/최상국 기자(skchoi@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데스크칼럼] 챗GPT에 대한 기대와 우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