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다운 기자] '코로나19'로 인한 청년층 고용한파가 신규 취업 뿐만 아니라 취업 이후 연봉이나 이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위권 대학보다는 중‧하위권 대학의 충격이 컸고, 인문계 졸업자가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1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고용상황 악화가 신규 대졸자에 미치는 장단기 영향' 이슈노트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급격한 고용상황 악화는 청년층 예비 취업자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로나19가 확산됐던 지난해 2월부터 12월까지 청년층 취업자수는 5.3% 감소했으며, 학업이나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쉬었음' 응답자수도 청년층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졸업자가 학위가 필요하지 않은 서비스‧판매직, 단순노무직 등에 취업하는 청년 대졸자의 '하향취업'도 크게 늘어나면서 취업의 질이 악화됐다.
한은은 "청년층의 하향취업은 단기적으로 임금 하락 등 노동조건 악화를 초래하며 낙인효과를 통해 향후 경력개발 과정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한은이 한국노동패널을 활용해 추정한 결과, 경기침체에 따른 실업률 상승은 신규 대졸 취업자의 임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이 3~4년차까지도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청년층이 처음 일자리에 진입할 때 취업이 늦어지거나 비정규직 등으로 취업하면, 이후 계속 불리한 임금을 받고, 취업·이직 기회가 줄어드는 '상흔효과'나 '이력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졸업연도 실업률이 1%p 상승할 경우 1~2년차 연간 임금이 4.3% 낮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3~4년차에도 임금손실률이 2.3%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른 영향은 대학, 전공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대학별로는 상위권 대학보다 중‧하위권 및 2년제 대학 신규 졸업자에게 부정적인 충격이 컸다. 전공별로는 인문계 졸업자가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졸업당시 노동시장 충격은 임금뿐만 아니라 대기업 취업 측면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졸업연도 실업률이 1%p 상승할 경우 대기업 취업 가능성은 1~2년차에 3.5%p 낮아졌다. 3~4년차에도 2.3%p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차장과 이상아 한은 경제통계국 국제수지팀 조사역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노동시장에 신규 진입하는 대졸자에게 상당 기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최근의 고용상황 악화가 상흔효과나 이력현상 등의 구조적 문제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김다운 기자(kdw@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