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스피커가 내 대화 몰래 전송?…지능정보사회 명암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뉴스 자동추천에도 '편항'우려 …방통위-KISDI, 패널조사

[아이뉴스24 도민선 기자] 사물이 지능화되고 연결되는 시대 '지능정보사회'를 앞두고 소비자들의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특히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인공지능(AI) 스피커에 대한 기대와 걱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효성)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원장 김대희, KISDI)은 지능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사용경험과 태도 등에 관한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1차년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능정보기술 및 서비스 확산에 따른 이용자의 인식과 행태변화를 3년 간 추적하는 패널조사로, 2020년까지 실시된다.

조사·분석항목은 ▲지능정보서비스 이용 현황 ▲미래사회 변화와 이용자의 태도 ▲인공지능스피커 사용현황 ▲개인정보보호 인식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권리와 역기능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계층분화 등이다.

이용자 패널은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중인 만 17세~63세 이하 남녀 4천233명(2천411가구)로 구성했으며, 가구별 방문조사를 실시했다. 지능정보서비스에 대한 사용경험을 묻는 조사의 특성상 조사대상자는 스마트폰 이용자이자 매일 1회 이상 인터넷 이용자로 한정했다.

스마트폰 이용자를 기준으로 데스크톱 컴퓨터(53.6%), 노트북 컴퓨터(29.2%), 태블릿PC(7.9%), 스마트워치(1.9%) 순으로 사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는 타인과의 소통을 위해 주로 이용하는 반면, 데스크톱과 노트북 등 PC는 정보검색을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 자동추천서비스에 '확증편향' 우려

자동추천서비스의 활용도도 높았다. 포털의 뉴스 추천서비스와 영화·음악 콘텐츠 추천시스템 등이 보편화됨에 따라 전체 조사대상 중 63.9%가 뉴스 추천서비스를, 56.2%는 영화 및 동영상 추천서비스를, 46.0%는 음악 추천서비스를 이용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 같은 이용자가 선호할만한 것들을 선별해 제공하는 자동추천 알고리즘은 검색비용을 절약해주고,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도 분석됐다. 그러나 과거의 사용기록이 현재의 추천결과를 결정하는 메커니즘으로 인해 다양한 의견과 정보를 접할 기회가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대표적인 자동추천서비스 활용 서비스인 뉴스의 경우 이용자 중 80%는 자동추천 결과가 자신의 취향 또는 뉴스 이용목적에 적합하다는 만족감을 나타냈다.

또한 ▲추천 기사가 획일적이지 않고 다양하다(69.5% ▲유용하다(73.0%)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의향이 있다(70.0%) 등의 항목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뉴스 자동추천으로 인해 본인의 사고나 가치관이 편향될까 두렵다는 의견도 57.8%에 달했다. 자신이 선호하는 정보만 편식해 기존의 고정관념이 강화되는 확증편향 현상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는 뜻이다.

◆AI스피커, 생각할 시간 줄이고 대화 몰래 전송 우려

인공지능(AI)에 대한 활용 가능성은 컸지만, 이로 인한 부작용에 대한 우려 역시 큰 것으로 조사됐다.

5년 내 일상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AI 서비스로는 원격진료(63.1%), 위험한 일을 대신하는 로봇(55.8%) 등이 꼽혔다. 반면 교육로봇(40.8%)과 아기돌봄 로봇(41.6%) 등 사람의 손길이 필요한 영역에서는 지능형 서비스를 수용하기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판단했다.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출처=방통위]

또 상용화될 경우 가장 이용하고 싶은 지능정보서비스로는 무인상점(70.3%), 로봇·드론에 의한 택배·배달 서비스(63.3%) 순으로 조사됐다.

이는 사람들이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가 적고 일상생활이 편리해지는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이용하고 싶어 하기 때문이라고 방통위는 분석했다.

인공지능스피커는 전체 응답자의 7.4%만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공지능스피커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사용방법이 어려워서(20.1%), 가격이 비싸서(19.3%)인 것으로 조사됐다.

인공지능스피커의 성능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는 편이었으며, 특히 인공지능스피커가 제공하는 답변이 본인의 취향‧목적에 잘 맞춰져 있다는 응답이 62.8%로 높게 나타났다.

만약 인공지능스피커가 보편화될 경우 예상되는 사회변화로는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을 내리는 일이 줄어들 것(66.0%) ▲신체적 불편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것(59.3%) ▲자신의 입맛에 맞는 정보에 길들여 질 것(59.0%) 순으로 공감을 얻었다.

지능정보사회 개인정보보호 인식의 변화상도 드러났다.

58%의 이용자들은 5년 전과 비교했을 때 개인정보보호 수준이 개선됐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보통(33.8%)이나 악화됐다(8.2%)는 응답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는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믿었다.

데이터 관리 측면에서 가장 신뢰받는 기관으로는 금융기관(59.6%)이 꼽혔다. 반대로 온라인 쇼핑몰(35.0%)은 신뢰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신 디지털 족적(footprint)에 대한 부담 등도 커지는 양상이다. 응답자의 65.2%는 이미 삭제한 글이나 사진이 어딘가에 남아있을 것에 우려를 보였다. 단 실제로 공개하고 싶지 않은 개인정보가 온라인상 존재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6.5%에 그쳤다.

41.8%의 응답자는 온라인상 이용흔적이 남을 것 같아 SNS 이용을 자제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큰 차이는 아니지만 제시된 사례 중 길 찾기‧경로안내 서비스는 이용을 자제한 경험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제공하는 정보 대비 편익이 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 응답자들은 지능정보서비스에 대해 알권리, 설명요구권 등 다양한 이용자의 권리가 인정돼야 한다고 답했다.

가령 기사 작성자가 인간인지 로봇인지 알 권리가 있다는 데 찬성의견이 48.5%로 반대 15.7%의 세 배를 넘었다. 또 인공지능 서비스로 인한 피해나 불이익에 대한 설명요구권에 대해 찬성이 45.9%로 반대 12.4%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공지능시스템이 인간의 가치와 일치하도록 설계돼야 한다는 응답도 43.7%에 달했다.

동시에 '모르겠다' '중립'으로 응답한 의견도 상당수를 차지해 아직 지능정보서비스의 위험성과 이용자 권리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도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데이터의 소유권 측면에서, 개인정보를 수집해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때 해당 데이터 소유권은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있다(35.4%)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기업에 있다는 의견(31.7%), 개인에 있다는 의견(21.0%)이 뒤를 이었다.

이 밖에도 인공지능 확산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일들 중 심각성이 가장 큰 것으로는 인공지능스피커가 대화내용을 허락 없이 전송하는 것(61.2%), 개인정보가 어떻게 이용되는지 알지 못하게 되는 것(60.9%)이 꼽혔다.

방통위는 지능정보사회와 관련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사용경험과 인식, 우려사항 등을 주제로 패널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중장기 이용자 보호정책 수립 시 참고할 계획이다. 조사결과는 방통위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홈페이지에 공개된다.

/도민선 기자 domingo@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AI스피커가 내 대화 몰래 전송?…지능정보사회 명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



포토 F/O/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