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허인혜 기자] 우리나라 사람들의 지갑에 든 현금규모가 8만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비상용 비축현금도 20만원에 그쳤고,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사용금액이 현금 사용액을 크게 추월했다.
16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2018년 경제주체별 현금사용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가계의 '거래용 현금'(지폐) 보유액은 평균 7만8천원으로 2015년의 11만6천원보다 3만8천원(33%) 줄었다.
거래용 현금은 설문 당시 응답자가 지갑이나 주머니에 소지하고 있는 현금을 일컫는다.
한은은 지난해 10월~12월 전국의 1인 이상 가구의 가구주 1천100명을 대상으로 방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기업의 경우 5인 이상 기업체 1천100개를 대상으로 조사가 이뤄졌다.
현금이 가계의 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1%로 신용·체크카드(52.0%)에 큰 폭으로 추월 당했다. 3년 전 조사에서는 현금(38.8%)과 신용·체크카드(37.4%) 비중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현금으로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장소별 비중은 전통시장(40.2%), 슈퍼마켓(24.4%), 편의점(10.3%) 순이었다. 용도별 현금지출액을 보면 상품 및 서비스 구입이 61.8%이었고, 사적 이전지출·경조금 등 개인 간 거래가 37.6%를 차지했다.
연령대별로 나이가 어릴수록 보유액이 적었다. 장년층의 보유액이 가장 높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의 거래용 보유액이 5만4천원으로 가장 적었고, 30대(6만7천원), 60대 이상(6만7천원), 40대(9만1천원), 50대(10만5천원) 순이었다.
현금 비상금은 가계의 4분의 1도 비축하지 않았다. 보유 가구 23.3%의 평균 현금 비축액은 54만3천원이었다. 2015년 조사 때는 조사대상 27.0%가 평균 69만3천만원을 가졌다고 응답한 바 있다.
고액권을 사용하는 비중이 높았다. 최근 1년간 5만원권을 사용한 가계는 89.2%로 대부분으로 나타났고, 사용빈도도 월평균 4.6회로 3년 전(4.3회)보다 늘었다.
기업에서는 100만원 미만의 현금을 보유한 곳이 75.8%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1000만원 이상을 갖고 있는 기업은 전체의 2.1%에 불과했다. 거래용 자금이 68.7%로 예비용(31.3%)보다 높게 나타났다.
'현금 없는 사회'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가계는 48.7%, 일반기업은 45.9%가 낮거나 없다고 답했다. 현금 수요가 줄긴 했지만 아직까지는 사라질 가능성을 적게 보고 있는 것이다. 다만 일반기업의 경우 중장기적(10년)으로는 가능성이 높다고 답한 비중이 44.2%로 높게 나타났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