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대응에 5G·UHD 활용…정부, 3년간 60억 투자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과기정통부-행안부 '국민생활연구' 추진

[아이뉴스24 김문기 기자] 일반 국민과 재난 관리 담당자의 신속한 재난 현장 대응을 위해 5G, UHD 등 새로운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재난정보전달 플랫폼이 개발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와 함께 3년간 총 60억원을 투자, '다매체 기반의 멀티미디어 재난정보전달 플랫폼 개발'을 추진한다고 24일 발표했다.

이번 사업은 기술개발은 물론, 현장 중심 실증과 적용까지를 포괄하는 '국민생활연구'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주관)이 KBS, KT 등 재난안전 분야 방송‧통신 전문기관과 중소기업, 대학 등과 연구단을 구성해 수행한다.

향후 3년간 연구단은 국민의 정확하고 구체적인 재난상황 인지와 재난관리 담당자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상황 전파를 위한 재난 정보전달 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추진하게 된다.

현재 재난·재해 정보는 긴급재난문자, TV 자막, 재해문자 전광판, 자동음성통보시스템 등 주로 텍스트 또는 음성의 형태로, 재난 지역 인근을 포함해 다소 광범위하게 전송됐다.

이번 사업에서는 재난 상황에서 해당 지역 주민들이 문자, 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더욱 구체적인 재난 정보를 보다 정밀하고 신속하게 받아볼 수 있도록5G, UHD 등을 활용하여 멀티미디어 재난발생 정보를 생성·전달하는표준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과 AI 기술 등을 활용하여 재난발생 정보를 신속·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텍스트의 자동 음성 변환, 매체별 재난 정보 자동 생성, 단말 간 재난상황 자동 전달 기술도 함께 개발할 계획이다.

예·경보 시스템은 중앙정부‧지자체별로 구축·운영하고 있으며, 재난 발생 시 재난 현장과 상황실 간에 음성 또는 텍스트 위주의 재난상황정보 공유체계를 구축·운영하고 있다. 재난상황정보 공유 체계는 잠재적·돌발적 위험 상황을 조기에 예측·식별·판단하여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한계가 있다.

이번, 사업에서는 각종 재난 예·경보 시스템을 상호 연계하여 중앙·지자체의 재난 예·경보 현황과 재난상황 정보를 실시간 상호 공유할 수 있는 표준 플랫폼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재난관리 담당자가 언제 어디서나 신속하게 재난 대응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재난안전통신망(PS-LTE) 등 신규 구축되는 인프라를 활용하여 재난 현장과 중앙상황실 간 양방향 정보 전달 시스템 구축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와 행안부 관계자는 "다매체 기반 멀티미디어 재난정보전달 플랫폼 개발 사업은 기술 개발에만 그치는 게 아니라, 실제 적용을 위한 기술표준화 및 시험운영까지 포괄하고 있다"며, "기술개발과 적용·확산 전 과정에서 두 부처가 유기적으로 협력, 성과를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문기기자 moon@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재난 대응에 5G·UHD 활용…정부, 3년간 60억 투자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



포토 F/O/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