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문기 기자] 내년 5세대통신(5G)이 상용화된다. 국내 이동통신이 도입된지 35년만이다. 카폰과 삐삐가 무선통신의 시작을 알렸다면 대중화를 이끈 때는 2세대통신(2G)을 꼽을 수 있다. 현재는 이통 3사의 경쟁구도가 고착화됐으나 당시는 춘추전국시대라 할 정도로 다양한 업체들의 치열한 경합이 계속됐다.
◆ 세계 최초 CDMA 상용화, '한국이동통신·신세기통신' 등장
이동통신 역사상 한국을 추격자(패스트 팔로워)에서 선도자(퍼스트 무버)로 한단계 도약시킨 사건을 꼽을 때 빠지지 않는 게 바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세계 최초 상용화'다.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로의 전환과 더불어 보다 소형화된 휴대폰이 등장함에 따라 각 사업자들이 너나할 것 없이 이 시장에 뛰어들기를 원했다.
물론 CDMA의 시작은 그렇게 화려하지 않았다. 매순간이 고난의 연속이었다.
다양한 사람들이 실타래 엮이듯 각각 1대1 통화가 가능하려면 한정된 주파수 속에서 각각이 연결될 수 있는 다중접속 기술이 중요했다. 당시 주파수 분할방식(FDMA), 시간분할방식(TDMA), 코드분할방식(CDMA) 등이 주요 기술로 부상했다.
국내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디지털방식을 개발해왔다. 다양한 기술 중 하나를 표준화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주목하던 기술은 TDMA방식이었으나 주파수 처리 용량의 한계로 전략을 수정했다. 수정안이 CDMA였던 것.
이에 따라 ETRI는 1991년 5월 6일 CDMA기술을 보유한 퀄컴과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이 때부터 CDMA는 만만찮은 과정을 거친다. 우선 CDMA 원천기술 보유업체인 퀄컴은 당시 작은 벤처기업에 불과했고, CDMA는 상용화된 사례가 없어 불확실성이 크다는 게 약점이 됐다. 우여곡절끝에 연구개발은 이어졌으나 기술 개발 마지막 시기까지 반대가 상당했다.
이러한 논란은 1993년 11월 당시 체신부가 고시를 통해 CDMA를 2G 표준으로 공식화하면서 수그러들었다. 체신부는 제2 이동통신 사업자 선정조건에 CDMA 방식 채택을 명시했다.이후 CDMA 공동개발 방식을 업체간 경쟁개발로 변경한다. 이와 함께 이동통신 기술개발 사업관리단을 한국이동통신(과거 한국이동통신서비스, 1988년 사명변경) 안에 발족시킨다.
선경그룹(현 SK그룹)은 대한텔레콤을 통해 1992년 제2이동통신사업자로 선정됐으나 대통령 선거와 사회적 분위기 등과 맞물려 사업 포기를 공식 선언했다. 체신부도 제2이통사업자 선정을 차기 정권으로 이양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선정 주체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에 넘기게 된다.
이후 선경그룹은 1994년 한국이동통신 민영화 계획에 따라 공개입찰에 참여, 이를 인수하면서 CDMA 연구개발을 이어갔다. 같은해 전경련은 포항제철(현 포스코)과 코오롱 등이 참여한 신세기통신을 제2사업자로 선정하면서 CDMA 기술 경쟁에 돌입했다.
1996년 1월 한국이동통신(현 SK텔레콤)이 세계 최초로 국산 CDMA 기술을 상용화, 9개월만에 전국 서비스를 시작했다. 식별번호는 011. 신세기통신 또한 같은해 4월부터 이 기술을 상용화했다. 식별번호는 017이다.
CDMA 상용화 전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는 150만명 수준이었으나 2000년에는 무려 2천700만명으로 15배 가량 폭증했다.
◆ PCS 3개 사업권을 놓고 경합, 'KTF·한솔PCS·LG텔레콤' 등장
정부는 통신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목표로 1995년 무선호출과 PCS, 주파수공용통신(TRS) 등 기본 및 신규 통신서비스 사업에 대한 진입 제한을 철폐하고 민간 기업의 신규 참여를 허용해야 한다는 기본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정부의 정책 선회로 국내 빅4라 불린 삼성과 현대, 대우, LG 등 대기업들이 누구나 할 것 없이 PCS 사업권을 획득 경쟁에 돌입했다. 당시 PCS 사업은 일명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비유됐다.
다만, 정부의 구체적인 방침은 계속 지연됐다. 허가기준에 대한 이견이 첨예하게 대립했기 때문. 결국 1995년 허가신청요령이 공고된 후 1996년 4월에 이르러서야 허가신청 접수가 시작됐다. 이후 심사를 거쳐 같은해 6월 선정법인이 발표됐다.
당시 허가신청공고 내용으로는 한국통신(현 KT)이 설립하는 자회사, 장비제조업체, 비장비제조업체 등 총 3개 사업권에 대한 허가를 명시했다. 한국통신은 이미 결정됐기에 나머지 2개 사업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진행됐다.
장비 제조업체의 경우 삼성과 현대를 중심으로 154개 업체가 참여한 '에버넷', LG와 기아 등을 중심으로 117개사가 모인 'LG텔레콤'이 각축전을 벌였다.
비장비업체로는 금호와 효성의 주도로 533개 사업자가 모인 '글로텔'과 한솔과 데이콤, 한화, 쌍용 등이 주도해 288개 사업자가 모인 '한솔PCS', 중소기업중앙회가 모은 1만4천295개사가 결집한 '그린텔' 등 삼파전 구도였다.
6월 발표된 선정법인은 이 중 장비제조업체는 LG텔레콤(현 LG유플러스), 비장비업체는 한솔PCS로 결정됐다. KT는 자회사인 KTF를 차렸다. 이를 통해 LG텔레콤은 1996년 7월 11일, 한솔PCS는 같은해 8월 1일, KTF는 12월 27일 공식 출범식을 가졌다. 추억속에 잊힌 식별번호인 019, 018, 016이 부여됐다.
PCS 3개 사업자는 이후 1년의 인프라 구축과 시범 서비스 과정을 밟은 후 1997년 10월 1일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때부터 셀룰러 서비스를 운영하는 한국이동통신(011)과 신세기통신(017), PCS를 서비스하는 KTF(016)과 한솔PCS(018), LG텔레콤(019)의 5개 사업자의 경쟁이 불붙으면서 휴대폰 시장의 일대 대중화 바람이 불게 됐다.
김문기기자 moo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