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영웅 기자] 두산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두산중공업 매각설 등에도 4년 만에 영업이익 1조원대를 돌파했다. 하지만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등으로 핵심 계열사인 중공업 부문에서 수익구조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어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두산은 지난 8일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7.7% 증가한 1조1천799억원, 매출은 6.8% 증가한 17조5천852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8.9% 감소한 459억원을 기록했다.
㈜두산 자체사업의 성장세가 그룹 전체의 매출액과 영업이익 증가를 이끌었다. 또한 두산인프라코어와 두산밥캣 등 자회사들의 실적개선 역시 이같은 실적에 뒷받침이 됐다. 실제로 두산인프라코어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34.6% 많은 6천608억원으로 2011년 이후 6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중간지주사 격인 두산중공업의 상황은 좋지 않다. 다른 자회사 연결실적을 제외한 중공업 부문의 실적만 살펴보면 매출액은 5조7천442억원, 영업이익은 1천903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7.4%, 33.8% 줄었다. 당기순이익은 1천461억원 줄어들며 적자전환, 1천256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더 중요한 문제는 수주규모가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지난해 수주규모는 5조510억원으로 전년 9조534억원 대비 무려 4조원 가량 쪼그라들었다. 이는 당초 계획된 신한울 원전 3·4호기의 전면 취소와 석탄화력발전소인 삼척포스파워 프로젝트의 지연에 따른 것이다.
두산그룹의 핵심계열사인 두산중공업이 실적개선에 성공하지 못할 경우 그동안 계속됐던 두산중공업 매각설은 또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크다. 두산중공업의 재무여력이 나빠질 경우 그룹 지배구조 최상단인 두산으로 두산중공업 계열의 지원부담이 전이되고 있어서다.
결국 두산중공업이 올해 매출 70% 가량을 석탄과 원전에 의존하던 기존 수익구조 전환에 성공해야 하는 이유다.
◆전통에너지·신재생에너지 쌍끌이 전략
두산중공업은 석탄과 가스 등 전통 에너지와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쌍끌이 성장을 노리겠다는 계획이다. 석탄화력은 동남아 중심으로 발주가 예상되며 가스화력은 친환경 발전을 선호하는 미국과 중동 중심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전통 에너지 분야를 포기할 수 없다는 것이다.
아울러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비해 원전 사업 분야를 축소하기보다는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리기로 했다. 중국과 러시아, 인도, 영국 등에서 원전에 대한 신규발주가 계속되고 있어서다. 특히 유가 회복으로 중동 지역에서도 신규 프로젝트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동시에 신재생과 가스터빈, 발전서비스 등 신사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에너지 전환정책에 따른 해상풍력과 석탄 노후 발전설비 성능개선(R&M), 신규사업의 규모가 기존 원자력과 석탄으로 인한 축소 사업을 능가하면서 견고한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전체 전력량의 20%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 중 54.2GW를 풍력과 태양광으로 채운다. 2030년까지 16.5GW 규모의 풍력발전기를 추가로 건설하기 위해 연평균 1.3GW의 풍력발전기가 발주되는데 두산중공업이 풍력 시장을 선점하고 있어 큰 호재다.
에너지저장장치(ESS)와 가스터빈 등에서도 수주 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다. 두산중공업은 LNG발전의 핵심 설비인 가스터빈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최근 GT(가스터빈) BU를 신설했다. 현재 개발 중인 60Hz 가스터빈은 우리나라를 비롯해 북미, 사우디, 중남미에서 사용된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8차 전력 수급계획 등을 반영해 국내 신사업과 해외원전의 향후 5년간 예상되는 수주 총합은 최대 15조4천억원"이라며 "정책 관련 취소물량을 충분히 만회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안정적인 이익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웅기자 hero@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