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문기기자]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5세대통신(5G)의 세계 첫 상용화를 직접 챙기고 나서는 등 의지를 보이고 있다. 새해 첫 업계와 공식 일정으로 통신 3사 CEO와 회동, 5G 투자 등 상용화에 힘써 줄 것을 당부하고 나섰다.
공교롭게 전날 미국 버라이즌이 삼성전자와 올 하반기 5G 상용화를 선언하고 난 직후다. 유 장관은 미국 측 5G 주도권 도전에도 자신감을 보였다. 한국의 5G 주도권 확보를 위한 주파수 경매 및 대가 산정 개선, 필수설비 공유 등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4일 통신3사 CEO 간담회 이후 기자와 만나 미국의 5G 세계 최초 상용화에 대해 "그렇게 될 지는 두고 보면 알게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앞서 전날 미국 버라이즌은 올 하반기 5G 세계 최초 상용화를 공언했다. 내년으로 예정된 우리나라 5G 상용화에 앞서 먼저 '세계 최초' 타이틀 도전을 선언한 셈이다.
유 장관은 이날 박정호 SK텔레콤 사장과 황창규 KT 회장,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 등 통신 3사 EO와 새해 첫 만남을 갖고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독려하는 등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5G는 새정부 역점 과제인 4차산억혁명의 주요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자율주행차 등의 구현을 위해 빠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5G 네트워크가 필수라는 판단에서다. 정부가 5G 상용화를 직접 챙기고 나선 이유다.
실제로 과기정통부는 이를 위해 오는 6월 5G 주파수 경매에 나설 예정이다. 당초 계획보다 1년 앞당겨진 일정이다.
5G 투자를 독려하는 차원에서 주파수 할당대가 등 규제 완화 등도 추진하고 있다. 장관이 투자 부담 완화 등 차원에서 KT가 보유한 필수설비 공유 등 문제를 직접 언급, 협조를 당부하고 나설 정도다. 아울러 대중소 상생 등을 위한 5G 국산 장비 도입 등에도 목소리를 높였다.
◆5G 최초 경쟁 점화, 韓-美 대결 되나
정부는 통신 3사와 내달 개막되는 평창동계올림픽에서도 5G 시범서비스에 나서는 등 주도권 경쟁에 나선 상태다. 표준 확보 등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여기에 버라이즌이 가세하고 나서면서 새 국면을 맞는 모양새다.
이날 박정호 SK텔레콤 사장도 간담회 전 모두 발언을 통해 "미국과 경쟁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미국은 한국보다 먼저 5G 주파수로 600MHz 대역과 3.7-4.2GHz 대역, 27.5-28.35GHz 대역을 확정한 상태. 여기에 1위 통신사인 버라이즌이 삼성전자와 손잡고 본격적인 5G 경쟁에 뛰어든 셈이다. 버라이즌은 28GHz 주파수 대역을 활용해 올 하반기 애틀랜타와 휴스턴, 마이애미 등 일부 도시에 5G 서비스를 도입한다는 목표다.
우리나라의 5G 상용화 일정은 현재로선 내년 3월이다. 공언대로 버라이즌이 하반기 5G 서비스 상용화에 성공한다면, 반년 가까이 미국에 뒤쳐지는 셈이다. 이에 맞서 국내 일정이 더 빨라질지도 관심사다.
다만, 업계에서는 버라이즌이 도입하는 기술방식을 5G 서비스로 볼지를 놓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버라이즌 서비스는 5G 주파수로 알려진 28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대용량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빠른 속도를 구현한다.
다만, 버라이즌 5G서비스가 ▲자체 통신규격인 5GTF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 ▲스마트폰과 같은 엔드 디바이스 제품이 아닌 가정 내 셋톱박스나 AP로 구현된다는 점 ▲유선과 무선망의 단절 지역을 연결하는 보완적인 방식인 점을 들어 완전한 5G 서비스로 볼 수 없다는 지적도 있는 것.
가령 5G 상용화를 위해서는 전국을 커버할 수 있는 유선망 위에 촘촘한 무선망을 덧대야 한다. 버라이즌의 방식은 모든 지역에 유선망을 구축 할 수 없어 유선망 사이 단절 지역을 28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 장비를 통해 연결하는 식이다.
즉, 새로운 서비스라기보다는 기존 인프라를 보완하는데 그친다. 일각에서 버라이즌의 이 같은 방식을 '5G 고정형 무선 액세스 서비스'라 평가하는 이유다.
장비업체 관계자는 "버라이즌의 서비스 방식을 5G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보통 상용화는 사용자가 쓸 수 있는 단말에서 구현됐을 때를 의미하기때문에 5G 시범 서비스라 표현하는 게 더 적당하다"고 설명했다.
유 장관이 자신감을 보인 배경도 이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의 "두고보면 알게 된다"는 말 또한 버라이즌 기술방식이 업계서 온전한 의미의 5G로 인정받지 못할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5G에 속도 …필수설비 공유, 빨라지나
정부는 빠른 5G 상용화를 위해 주파수 경매대가 방식 개선이나 필수설비 공유 등에도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 중 업계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필수설비 공유는 유 장관이 황창규 회장에 직접 "설비 공유가 필요하다"며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고 나서면서 어느정도 물꼬를 틀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거론되는 공유 방법은 3가지로 압축되고 있다.
트래픽이 많은 곳은 필수설비가 1곳보다는 3곳이 더 낫기 때문에 각자 구축하는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대신 수익이 적어 1곳만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공동 구축이 가능하다. 농어촌 지역이 대표적이다.
또 도심 지역에서는 특정 이통사가 관로나 전주를 만들어야 하지만 집주인이나 지역의 반대로 무산됐을 때 경쟁사에게 적정대가를 지불하고 필수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황 회장 역시 필수설비와 관련해 "적정대가가 책정되고 가이드라인을 구축한 상태로 진행했으면 한다"며 한발 물러섰다. 접점을 찾을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황 회장은 또 "필수설비 공용화가 안돼 5G 상용화 일정 등에 차질이 없어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한다"는 뜻과 함께 "앞으로 필수설비와 관련해서도 합당한 가이드라인 구축 때까지 언제든지 협의할 용의가 있다"고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유 장관은 "5G 인프라 구축과 관련 국내 장비 업체, 이통사, 제조사, 콘텐츠업체가 상생,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가 만들어질 수 있는 논의의 장이 필요하다"며 "이런 자리를 자주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문기기자 moo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