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박영례기자] 지난해 발생한 경주 지진 당시 지상파 재난방송이 재대로 이뤄지지 않아 문제가 됐던 가운데 1년이 지난 현재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진과 같은 천재지변은 생존을 위한 골든타임 확보가 관건인 만큼 제대로 된 재난방송 실시와 이를 위해 컨트롤타워 일원화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성태의원(자유한국당)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방송사들은 지난 3~4분기 185건의 재난방송을 30분 이상 초과해 송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중 라디오를 제외한 늑장방송 102건 중 지역 MBC와 SBS의 네트워크를 이루는 지역민방의 편성 비중이 79.3%, 이 중 지역 MBC가 지역 지상파 재난방송 지연의 80%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9월 경주지진 당시 늑장 재난방송이 논란이 됐음에도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 방통위는 지난 경주 지진 이후 지진대응 긴급 재난방송 매뉴얼을 만들어 자막 크기와 내용, 송출시간 등을 결정한 바 있다. 하지만 지역지상파가 재난방송이 방송사의 의무임에도 방송 누락 등에 따른 과태료 처분을 반복하는 등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게 김 의원 측 지적이다.
지난연말 실시한 방송재난관리계획 지도점검도 서울에 본사를 둔 지상파와 종편 등 10개사에만 그쳤을 뿐, 지역 지상파의 늑장방송 대응방안은 전무하다는 것.
김성태 의원은 "지역방송의 인력난과 열악한 시스템이 결국 재난방송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현실" 이라며 “KBS는 본사와 지역국이 연동된 반면, 지역 MBC와 SBS 지역민방은 그렇지 않아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으로부터 빠르게 사실을 전달받아 재난방송 하기에는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어 "재난방송 점검결과는 신속하게 도출, 개선 작업에 반영해야 함에도 올해 상반기 재난방송 실태가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은 점 역시 문제"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통합재난망서버를 통해 내용을 전달받는다.
특히, 지진자동자막송출시스템을 활용해 지진 등 재난방송의 요청 시 방송사에서 자막작업을 거치지 않더라고 바로 연동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러나 수혜를 받는 방송사는 중앙 지상파 및 종편 등 10개사에 그쳐 본사와 지역국이 연동되지 않은 MBC와 지역민방에는 전달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김 의원은 "1분 1초가 골든타임인 재난방송 분야는 TF팀 구성이 아니라 하나의 부처가 컨트롤타워 로 신속히 대응해야 한다"며 "부처 편의에 따라 지상파, 보도전문채널(종편), IPTV, SO, DMB를 과기정통부, 방통위가 나눠 업무를 분장한 것도 문제"라고 주장했다.
현재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은 과기정통부 산하에 있지만 방송사 중 가장 많은 시청률을 보유한 지상파는 방통위 소관이다. 이 탓에 과기정통부와 방통위가 함께 중앙재난방송협의회를 편성, 운영하고 있으나 신속한 대응체계 차원에서 컨트롤타워를 한 부처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 의원은 "공영방송의 조기 업무정상화를 통해 재난방송시스템의 총체적 점검에 나서야 한다" 강조했다.
/박영례기자 young@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