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어쩌나…'이중고'에 한숨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수익성 악화와 기본료 폐지 등 업계 전망 '불투명'

[아이뉴스24 도민선기자] 가계통신비 인하를 위한 기본료 폐지가 새정부 핵심 국정과제로 떠오르면서 알뜰폰 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가입자 증가세는 꺾이고 수익성은 여전히 취약한 상태다. 스마트홈 등 사업 다각화로 활로를 모색하려 했지만 기본료 폐지가 복병처럼 등장하면서 전망은 어둡기만 하다.

알뜰폰 이용자 대부분이 2G와 3G 가입자인 상황에서 기본료 폐지가 이뤄지면 사실상 사업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말 그대로 이중고다.

9일 새정부 인수위 격인 국정기획자문위원회의 가계통신비 인하 방안이 2G와 3G 기본료 폐지로 압축되면서 파장 등에 알뜰폰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 알뜰폰 이용자의 대부분이 2G와 3G 이용자로 기본료 폐지가 강행될 경우 직격탄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래창조과학부 무선통신 가입자 통계에 따르면 4월 현재 전체 알뜰폰 가입자 중 4G에 해당하는 LTE 가입자는 전체의 24.6% 수준이다. 이통 3사의 LTE 가입자 비중이 74.1%에 달하는 것에 비하면 여전히 2G와 3G 가입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

2G와 3G 비중이 높다보니 수익성도 떨어진다. LTE 요금이 2G·3G 요금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이고, 이통 3사의 가입회선 수도 알뜰폰의 사용자의 약 7.8배에 달한다. 이 상황에서 기본료가 폐지돼 요금 경쟁력까지 약화되면 수익성은 더욱 악화될 수 있다.

◆수익성 둔화에 기본료 폐지되면 경쟁력 없어

알뜰폰은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일부 사업자를 중심으로 이통 3사와 같은 사업 다각화 등을 꾀하고 있다. 가령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한 스마트홈 등이 그것.

에넥스텔레콤은 이달 초 IoT 기능이 탑재된 허브와 공유기, 온습도 알리미, 360도 홈캠 등을 출시한 바 있다. 또 SK텔렝크는 B2B 영역에서 사물 간 통신(M2M) 등을 활용할 계획이다. 이통 3사가 IoT를 활용한 스마트홈, 차량사물통신(V2X)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전략과 유사하다.

그러나 모든 알뜰폰 사업자들이 이 같은 신규 사업에 나설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알뜰폰 사업이 당초 가계통신비 인하라는 목적에서 출발한 만큼 수익성 등 신사업 추진 여력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래부 통계에 따르면 전체 IoT 회선 중 알뜰폰 비중은 지난 2015년말 13.6%에서 지난 4월 현재 11.4%로 감소했다.

알뜰폰 업계 관계자는 "알뜰폰의 가입자 당 평균 매출(ARPU)은 이통 3사 절반에 불과하고, 요금제상당수가 원가 이하"라며 "알뜰폰 간 요금 경쟁은 이미 포화 상태인로 사업자 대부분이 손익분기점도 넘지 못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정부의 기본료 폐지 등 압박까지 거세지면, 알뜰폰과 이통 3사간 가격 격차가 줄어들면 가입자 이탈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통 3사의 멤버십 혜택 등을 고려할 때 알뜰폰의 이점이 사라지는 셈이다.

알뜰폰 업계 다른 관계자는 "알뜰폰이 정부 정책으로 탄생한 만큼 통신비 인하에 대해 언급하기 조심스럽지만 알뜰폰 업계가 고사 위기에 빠질 수 있다"며 "정부가 이에 따른 대책까지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민선기자 domingo@i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알뜰폰 어쩌나…'이중고'에 한숨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TIMELINE



포토 F/O/C/U/S